직업상담사 2급 1차 기출문제 [2021.05.15.(2회)]
제4과목 : 노동시장론
B_61. 다음 중 노동공급의 감소로 발생되는 현상은?
① 사용자의 경쟁심화로 임금수준의 하락을 초래한다.
② 고용수준의 증가를 가져온다.
③ 임금수준의 상승을 초래한다.
④ 일시적인 초과 노동공급 현상을 유발한다.
B_62. 근로자의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임금체계는?
① 연공급
② 직무급
③ 직능급
④ 성과급
B_63. 노동조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노조부문과 비노조부문 간의 임금격차를 해소시킨다.
② 집단적 소리로서의 기능을 하여 비효율을 제거하고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③ 시장기능에 의해 결정된 임금수준을 반드시 수용한다.
④ 노동조합의 임금수준은 일반적으로 비노조부문의 임금수준에 비해 낮게 책정되어 있다.
B_64. 1960년대 선진국에서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간의 상충관계를 개선하고자 실시했던 정책은?
① 재정정책
② 금융정책
③ 인력정책
④ 소득정책
B_65. 다음 중 최저임금제도의 기대효과가 아닌 것은?
① 소득분배 개선
② 기업 간 공정경쟁 유도
③ 고용 확대
④ 산업구조의 고도화
B_66. 한국 노동시장에서 인력난과 유휴인력이 공존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근로자의 학력 격차의 확대
② 외국인고용허가제 도입
③ 기업규모별 임금격차의 확대
④ 미숙련 노동력의 무제한적 공급
B_67. K회사는 4번째 직원을 채용할 때 모든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을 8천원에서 9천원으로 인상할 것이다. 만약 4번째 직원의 시간당 한계 수입 생산이 1만원이라면 K기업이 4번째 직원을 새로 고용함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시간당 이윤은?
① 1천원 증가
② 2천원 증가
③ 1천원 감소
④ 2천원 감소
B_68. 개인이 노동시장에서의 노동공급을 포기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개인의 여가 소득 간의 무차별곡선이 수평에 가까운 경우이다.
② 개인의 여가-소득 간의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 간의 접점이 존재하지 않거나, X축 코너(corner) 점에서만 접점이 이루어질 경우이다.
③ 일정수준의 효용을 유지하기 위해 1시간 추가적으로 더 일하는 것을 보상하는데 요구되는 소득이 시장임금률보다 더 큰 경우이다.
④ 소득에 비해 여가의 효용이 매우 큰 경우이다.
B_69. 노사간에 공동 결정 (co-determination)이라는 광범위한 합의 관행이 존재하고 있는 국가는?
① 영국
② 프랑스
③ 미국
④ 독일
B_70. 노사관계의 주체를 사용자 및 단체, 노동자 및 단체, 정부로 규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는 기술, 시장 또는 예산상의 제약, 권력구조에 의해 결정된다는 노사관계이론은?
① 시스템이론
② 수렴 이론
③ 분산이론
④ 단체교섭이론
B_71.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통상임금에는 기본급, 직무관련 직책, 직급, 직무수당을 포함한다.
② 초과 급여, 특별급여 등은 통상임금 산정에서 제외된다.
③ 평균임금은 고용기간 중에서 근로자가 지급받고 있던 평균적인 임금수준을 말한다.
④ 평균임금은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등의 산출 기준 임금이다.
B_72. 다음 중 내부노동시장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신규채용이나 복직 그리고 능력있는 자의 초빙 시에만 외부 노동시장과 연결된다.
② 승진이나 직무배치 그리고 임금 등은 외부노동시장과 연계하여 결정된다.
③ 임금은 근로자의 단기적 생산성과 관련된다.
④ 내부와 외부노동시장 간에 임금격차가 없다.
B_73. 경기 침체로 실업자가 직장을 구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되어 구직활동을 단념함으로써 비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나고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① 실망노동자 효과
② 대기실업 효과
③ 부가 노동자효과
④ 추가실업효과
B_74. 정보의 유통장애와 가장 관련이 높은 실업은?
① 마찰적 실업
② 경기적 실업
③ 구조적 실업
④ 잠재적 실업
B_75. 임금이 10000원에서 12000원으로 증가할 때 고용량이 120명에서 108명으로 감소한 경우 노동수요의 탄력성은?
① 0.06
② 0.5
③ 1.0
④ 2.0
B_76. 임금상승이 한 거인의 여가와 노동시간에 미치는 효과 중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클 경우 나타나는 것은?
① 여가시간은 감소하지만 노동시간이 증가한다.
② 여가시간과 노동시간이 함께 증가한다.
③ 여가시간과 노동시간이 함께 감소한다.
④ 여가시간은 증가하지만 노동시간은 감소한다.
B_77. 노동조합으로 인해 비노조부의 임금이 하락하고 있다면 이는 어떤 경우인가?
① 이전 효과(spillover effect)만 나타나는 경우
② 위협 효과(threat effect)만 나타나는 경우
③ 대기실업효과만 나타나는 경우
④ 비노동조합 부문에서 노동수요곡선을 좌측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
B_78. 노동조합 조직의 유지 및 확대에 유리한 순서대로 숍제도를 나열한 것은?
① 클로즈드솝 > 유니온숍 > 오픈숍
② 유니온숍 > 클로즈드숍 > 오픈숍
③ 오픈습 > 유니온숍 > 클로즈드숍
④ 오픈습 > 클로즈드숍 > 유니온숍
B_79. 1998~1999년의 경제위기 기간에 나타난 우리 노동시장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해고 분쟁의 증가
② 외국인 노동자 대량유입
③ 근로자의 평균근속기간 감소
④ 임시직 · 일용직 고용비중의 증가
B_80. 다음 중 임금수준의 결정원칙이 아닌 것은?
① 사회적 균형의 원칙
② 생계비 보장의 원칙
③ 소비욕구 반영의 원칙
④ 기업 지불 능력의 원칙
정답
B_61. 다음 중 노동공급의 감소로 발생되는 현상은?
① 사용자의 경쟁심화로 임금수준의 하락을 초래한다.
② 고용수준의 증가를 가져온다.
③ 임금수준의 상승을 초래한다.
④ 일시적인 초과 노동공급 현상을 유발한다.
B_62. 근로자의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임금체계는?
① 연공급
② 직무급
③ 직능급
④ 성과급
B_63. 노동조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노조부문과 비노조부문 간의 임금격차를 해소시킨다.
② 집단적 소리로서의 기능을 하여 비효율을 제거하고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③ 시장기능에 의해 결정된 임금수준을 반드시 수용한다.
④ 노동조합의 임금수준은 일반적으로 비노조부문의 임금수준에 비해 낮게 책정되어 있다.
B_64. 1960년대 선진국에서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간의 상충관계를 개선하고자 실시했던 정책은?
① 재정정책
② 금융정책
③ 인력정책
④ 소득정책
B_65. 다음 중 최저임금제도의 기대효과가 아닌 것은?
① 소득분배 개선
② 기업 간 공정경쟁 유도
③ 고용 확대
④ 산업구조의 고도화
B_66. 한국 노동시장에서 인력난과 유휴인력이 공존하는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근로자의 학력 격차의 확대
② 외국인고용허가제 도입
③ 기업규모별 임금격차의 확대
④ 미숙련 노동력의 무제한적 공급
B_67. K회사는 4번째 직원을 채용할 때 모든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을 8천원에서 9천원으로 인상할 것이다. 만약 4번째 직원의 시간당 한계 수입 생산이 1만원이라면 K기업이 4번째 직원을 새로 고용함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시간당 이윤은?
① 1천원 증가
② 2천원 증가
③ 1천원 감소
④ 2천원 감소
B_68. 개인이 노동시장에서의 노동공급을 포기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개인의 여가 소득 간의 무차별곡선이 수평에 가까운 경우이다.
② 개인의 여가-소득 간의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 간의 접점이 존재하지 않거나, X축 코너(corner) 점에서만 접점이 이루어질 경우이다.
③ 일정수준의 효용을 유지하기 위해 1시간 추가적으로 더 일하는 것을 보상하는데 요구되는 소득이 시장임금률보다 더 큰 경우이다.
④ 소득에 비해 여가의 효용이 매우 큰 경우이다.
B_69. 노사간에 공동 결정 (co-determination)이라는 광범위한 합의 관행이 존재하고 있는 국가는?
① 영국
② 프랑스
③ 미국
④ 독일
B_70. 노사관계의 주체를 사용자 및 단체, 노동자 및 단체, 정부로 규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는 기술, 시장 또는 예산상의 제약, 권력구조에 의해 결정된다는 노사관계이론은?
① 시스템이론
② 수렴 이론
③ 분산이론
④ 단체교섭이론
B_71.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통상임금에는 기본급, 직무관련 직책, 직급, 직무수당을 포함한다.
② 초과 급여, 특별급여 등은 통상임금 산정에서 제외된다.
③ 평균임금은 고용기간 중에서 근로자가 지급받고 있던 평균적인 임금수준을 말한다.
④ 평균임금은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등의 산출 기준 임금이다.
B_72. 다음 중 내부노동시장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신규채용이나 복직 그리고 능력있는 자의 초빙 시에만 외부 노동시장과 연결된다.
② 승진이나 직무배치 그리고 임금 등은 외부노동시장과 연계하여 결정된다.
③ 임금은 근로자의 단기적 생산성과 관련된다.
④ 내부와 외부노동시장 간에 임금격차가 없다.
B_73. 경기 침체로 실업자가 직장을 구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되어 구직활동을 단념함으로써 비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나고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① 실망노동자 효과
② 대기실업 효과
③ 부가 노동자효과
④ 추가실업효과
B_74. 정보의 유통장애와 가장 관련이 높은 실업은?
① 마찰적 실업
② 경기적 실업
③ 구조적 실업
④ 잠재적 실업
B_75. 임금이 10000원에서 12000원으로 증가할 때 고용량이 120명에서 108명으로 감소한 경우 노동수요의 탄력성은?
① 0.06
② 0.5
③ 1.0
④ 2.0
B_76. 임금상승이 한 거인의 여가와 노동시간에 미치는 효과 중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클 경우 나타나는 것은?
① 여가시간은 감소하지만 노동시간이 증가한다.
② 여가시간과 노동시간이 함께 증가한다.
③ 여가시간과 노동시간이 함께 감소한다.
④ 여가시간은 증가하지만 노동시간은 감소한다.
B_77. 노동조합으로 인해 비노조부의 임금이 하락하고 있다면 이는 어떤 경우인가?
① 이전 효과(spillover effect)만 나타나는 경우
② 위협 효과(threat effect)만 나타나는 경우
③ 대기실업효과만 나타나는 경우
④ 비노동조합 부문에서 노동수요곡선을 좌측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
B_78. 노동조합 조직의 유지 및 확대에 유리한 순서대로 숍제도를 나열한 것은?
① 클로즈드솝 > 유니온숍 > 오픈숍
② 유니온숍 > 클로즈드숍 > 오픈숍
③ 오픈습 > 유니온숍 > 클로즈드숍
④ 오픈습 > 클로즈드숍 > 유니온숍
B_79. 1998~1999년의 경제위기 기간에 나타난 우리 노동시장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해고 분쟁의 증가
② 외국인 노동자 대량유입
③ 근로자의 평균근속기간 감소
④ 임시직 · 일용직 고용비중의 증가
B_80. 다음 중 임금수준의 결정원칙이 아닌 것은?
① 사회적 균형의 원칙
② 생계비 보장의 원칙
③ 소비욕구 반영의 원칙
④ 기업 지불 능력의 원칙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시기출) 노사관계이론 (0) | 2021.05.16 |
---|---|
[노동관계법규] 2021년 2회차 필기 기출문제 (0) | 2021.05.16 |
[직업정보론] 2021년 2회차 필기 기출문제 (0) | 2021.05.16 |
[직업심리학] 2021년 2회차 필기 기출문제 (0) | 2021.05.16 |
[직업상담학] 2021년 2회차 필기 기출문제 (0) | 202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