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2급 1차 기출문제 [2021.05.15.(2회)]
제2과목 : 직업심리학
B_21. 특정 집단의 점수분포에서 한 개인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점수는?
① 표준 점수
② 표준 등급
③ 백분위 점수
④ 규준 점수
B_22.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K-WAIS-IV)의 처리속도지수에 포함되지 않는 소검사는? 1
① 동형 찾기
② 퍼즐
③ 기호쓰기
④ 지우기
B_23. Lofquist와 Dawis의 직업적응 이론에 나오는 | 4가지 성격양식 차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민첩성
② 역량
③ 친화성
④ 지구력
B_24. 직무분석 자료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최신의 정보를 반영해야 한다.
② 논리적으로 체계화되어야 한다.
③ 진로상담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④ 가공하지 않은 원상태의 정보이어야 한다.
B_25. 개인의 진로발달 과정에서 초기의 가정환경이 그 후의 직업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이론은?
① 파슨스(Parsons)의 특성이론
② 갤라트(Gelatt)의 의사결정이론
③ 로(Roe)의 욕구이론
④ 수퍼 (Super)의 발달이론
B_26. 다음 중 전직을 예방하기 위해 퇴직의사 보유자에게 실시하는 직업상담 프로그램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직업복귀 프로그램
② 실업충격완화 프로그램
③ 조기퇴직계획 프로그램
④ 직업적응 프로그램
B_27. Holland의 성격유형 중 구조화된 환경을 선호하고, 질서정연하고 체계적인 자료정리를 좋아하는 것은?
① 실제형
② 탐구형
③ 사회형
④ 관습형
B_28. 심리검사를 선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검사는 진행 중인 상담과정의 한 구성요소로만 보아야 한다.
② 검사는 내담자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정보를 얻는 하나의 도구이다.
③ 검사는 내담자와 함께 협조해서 선택하 것이 좋다.
④ 검사의 결과는 가능한 한 내담자에게 제공해서는 안된다.
B_29. 스트레스와 직무수행 간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직무수행이 떨어지는 일차함수 관계이다.
② 어느 수준까지만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직무수행이 떨어진다.
③ 일정 시점 이후에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하면 수행실적은 오히려 감소하는 역U형 관계이다
④ 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은 관계가 없다.
B_30.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적 대처 중 직장상사에게 야단맞은 사람이 부하직원이 나 식구들에게 트집을 잡아 화풀이를 하는 것은?
① 합리화(rationalization)
② 동일시 (identification)
③ 보상(compensation)
④ 전위(displacement)
B_31. 윌리암슨 (Williamson)이 제시한 상담의 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분석 ㄴ. 종합 ㄷ. 상담 ㄹ. 진단 ㅁ. 추수지도 ㅂ. 처방
① ㄱ → ㄴ → ㄹ → ㅂ → ㄷ → ㅁ
② ㄱ → ㄴ → ㄹ → ㄷ → ㅁ → ㅂ
③ ㄱ → ㄹ → ㅂ → ㄷ → ㅁ → ㄴ
④ ㄹ → ㅂ → ㄴ → ㄱ → ㄷ → ㅁ
B_32.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Levinson의 발달이론에서 성인은 연령에 따라 ( )의 계속적인 과정을 거쳐 발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 단계는 남녀나 문화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① 안정과 변화
② 주요 사건
③ 과제와 도전
④ 위기
B_33. 다음의 내용을 주장한 학자는?
특정한 직업을 갖게 되는 것은 단순한 선호나 선택의 기능이 아니고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복잡한 환경적 요인의 결과이다.
① Krumboltz
② Dawis
③ Gelatt
④ Peterson
B_34. 다음의 특성을 가진 직무분석 기법은?
○ 미국 퍼듀대학교의 메코믹 (McComick)이 개발했다.
○ 행동중심적 직무분석기법 . (behavior-oriented job analysis method)이 다.
○ 6가지의 범주 및 187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 개별 직무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성과 표준을 직접 산출하는 데는 무리가 따른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① CD 직무과제분석 (JTA)
② 기능적 직무분석(FJA)
③ 직위 분석 질문지(PAQ)
④ 관리직 기술 질문지 (MPDQ)
B_35. 신뢰도 추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그 속도검사의 경우 기우양분법으로 반분신뢰도를 추정하면 신뢰도 계수가 과대 추정되는 경향이 있다.
② 신뢰도 추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관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유사하다.
③ 신뢰도 추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표본의 동질성이다.
④ 정서반응과 같은 불안정한 심리적 특성의 신뢰도를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서는 검사-재검사의 기간을 충분히 두어야 한다.
B_36. 셀리에 (Selye)의 스트레스에서의 일반적응증후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스트레스의 결과가 신체부위에 영향을 준다는 뜻에서 일반적이라 명명했다.
② 스트레스의 원인으로부터 신체가 대처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적응이라 명명했다.
③ 경계단계는 정신적 혹은 육체적 위험에 노출되었을 때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는 단계이다.
④ 탈진단계에서 심장병을 잘 유발하는 성격의 B유형은 흥분을 가라앉히지 않는다
B_37. 신입사원이 조직에 쉽게 적응하도록 상사가 후견인이 되어 도와주는 경력개발 프로그램은?
① 종업원지원 시스템
② 멘토십 시스템
③ 경력지원 시스템
④ 조기발탁 시스템
B_38. 직업적성검사(GATB)에서 사무지각적성(clerical perception)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는?
① 표식 검사
② 계수검사
③ 명칭 비교 검사
④ 평면도 판단검사
B_39. Super의 직업 발달이론에 대한 중심 개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개인은 각기 적합한 직업군의 적격성이 있다.
② 직업 발달 과정은 본질적으로 자아개념의 발달 보완과정이다.
③ 개인의 직업기호와 생애는 자아실현의 과정으로 현실과 타협하지 않는 활동과정이다.
④ 직업과 인생의 만족은 자기의 능력, 흥미, 성격특성 및 가치가 충분히 실현되는 정도이다.
B_40. 다음은 어떤 타당도에 관한 설명인가?
측정도구가 실제로 무엇을 측정했는가 또는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추상적인 개념이 실제로 측정도구에 의해서 적절하게 측정 되었는가에 관한 문제로서, 이론적 연구를 하는 데 가장 중요한 타당도
①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② 개념타당도(construct validity)
③ 공인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④ 예언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정답
B_21. 특정 집단의 점수분포에서 한 개인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점수는?
① 표준 점수
② 표준 등급
③ 백분위 점수
④ 규준 점수
B_22. 성인용 웩슬러 지능검사(K-WAIS-IV)의 처리속도지수에 포함되지 않는 소검사는? 1
① 동형 찾기
② 퍼즐
③ 기호쓰기
④ 지우기
B_23. Lofquist와 Dawis의 직업적응 이론에 나오는 | 4가지 성격양식 차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민첩성
② 역량
③ 친화성
④ 지구력
B_24. 직무분석 자료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최신의 정보를 반영해야 한다.
② 논리적으로 체계화되어야 한다.
③ 진로상담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④ 가공하지 않은 원상태의 정보이어야 한다.
B_25. 개인의 진로발달 과정에서 초기의 가정환경이 그 후의 직업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이론은?
① 파슨스(Parsons)의 특성이론
② 갤라트(Gelatt)의 의사결정이론
③ 로(Roe)의 욕구이론
④ 수퍼 (Super)의 발달이론
B_26. 다음 중 전직을 예방하기 위해 퇴직의사 보유자에게 실시하는 직업상담 프로그램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직업복귀 프로그램
② 실업충격완화 프로그램
③ 조기퇴직계획 프로그램
④ 직업적응 프로그램
B_27. Holland의 성격유형 중 구조화된 환경을 선호하고, 질서정연하고 체계적인 자료정리를 좋아하는 것은?
① 실제형
② 탐구형
③ 사회형
④ 관습형
B_28. 심리검사를 선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검사는 진행 중인 상담과정의 한 구성요소로만 보아야 한다.
② 검사는 내담자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정보를 얻는 하나의 도구이다.
③ 검사는 내담자와 함께 협조해서 선택하 것이 좋다.
④ 검사의 결과는 가능한 한 내담자에게 제공해서는 안된다.
B_29. 스트레스와 직무수행 간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직무수행이 떨어지는 일차함수 관계이다.
② 어느 수준까지만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직무수행이 떨어진다.
③ 일정 시점 이후에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하면 수행실적은 오히려 감소하는 역U형 관계이다.
④ 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은 관계가 없다.
B_30.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적 대처 중 직장상사에게 야단맞은 사람이 부하직원이 나 식구들에게 트집을 잡아 화풀이를 하는 것은?
① 합리화(rationalization)
② 동일시 (identification)
③ 보상(compensation)
④ 전위(displacement)
B_31. 윌리암슨 (Williamson)이 제시한 상담의 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분석 ㄴ. 종합 ㄷ. 상담 ㄹ. 진단 ㅁ. 추수지도 ㅂ. 처방
① ㄱ → ㄴ → ㄹ → ㅂ → ㄷ → ㅁ
② ㄱ → ㄴ → ㄹ → ㄷ → ㅁ → ㅂ
③ ㄱ → ㄹ → ㅂ → ㄷ → ㅁ → ㄴ
④ ㄹ → ㅂ → ㄴ → ㄱ → ㄷ → ㅁ
B_32.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Levinson의 발달이론에서 성인은 연령에 따라 ( )의 계속적인 과정을 거쳐 발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 단계는 남녀나 문화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① 안정과 변화
② 주요 사건
③ 과제와 도전
④ 위기
B_33. 다음의 내용을 주장한 학자는?
특정한 직업을 갖게 되는 것은 단순한 선호나 선택의 기능이 아니고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복잡한 환경적 요인의 결과이다.
① Krumboltz
② Dawis
③ Gelatt
④ Peterson
B_34. 다음의 특성을 가진 직무분석 기법은?
○ 미국 퍼듀대학교의 메코믹 (McComick)이 개발했다.
○ 행동중심적 직무분석기법 . (behavior-oriented job analysis method)이 다.
○ 6가지의 범주 및 187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 개별 직무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성과 표준을 직접 산출하는 데는 무리가 따른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① CD 직무과제분석 (JTA)
② 기능적 직무분석(FJA)
③ 직위 분석 질문지(PAQ)
④ 관리직 기술 질문지 (MPDQ)
B_35. 신뢰도 추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그 속도검사의 경우 기우양분법으로 반분신뢰도를 추정하면 신뢰도 계수가 과대 추정되는 경향이 있다.
② 신뢰도 추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관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유사하다.
③ 신뢰도 추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표본의 동질성이다.
④ 정서반응과 같은 불안정한 심리적 특성의 신뢰도를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서는 검사-재검사의 기간을 충분히 두어야 한다.
B_36. 셀리에 (Selye)의 스트레스에서의 일반적응증후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스트레스의 결과가 신체부위에 영향을 준다는 뜻에서 일반적이라 명명했다.
② 스트레스의 원인으로부터 신체가 대처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적응이라 명명했다.
③ 경계단계는 정신적 혹은 육체적 위험에 노출되었을 때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는 단계이다.
④ 탈진단계에서 심장병을 잘 유발하는 성격의 B유형은 흥분을 가라앉히지 않는다
B_37. 신입사원이 조직에 쉽게 적응하도록 상사가 후견인이 되어 도와주는 경력개발 프로그램은?
① 종업원지원 시스템
② 멘토십 시스템
③ 경력지원 시스템
④ 조기발탁 시스템
B_38. 직업적성검사(GATB)에서 사무지각적성(clerical perception)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는?
① 표식 검사
② 계수검사
③ 명칭 비교 검사
④ 평면도 판단검사
B_39. Super의 직업 발달이론에 대한 중심 개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개인은 각기 적합한 직업군의 적격성이 있다.
② 직업 발달 과정은 본질적으로 자아개념의 발달 보완과정이다.
③ 개인의 직업기호와 생애는 자아실현의 과정으로 현실과 타협하지 않는 활동과정이다.
④ 직업과 인생의 만족은 자기의 능력, 흥미, 성격특성 및 가치가 충분히 실현되는 정도이다.
[2021.05.15.(2회)]
B_40. 다음은 어떤 타당도에 관한 설명인가?
측정도구가 실제로 무엇을 측정했는가 또는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추상적인 개념이 실제로 측정도구에 의해서 적절하게 측정 되었는가에 관한 문제로서, 이론적 연구를 하는 데 가장 중요한 타당도
①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② 개념타당도(construct validity)
③ 공인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④ 예언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2021.05.15.(2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 직업상담학(과목별) 직업심리학(문제별) / 직업심리학(과목별) 직업정보론(문제별) / 직업정보론(과목별) 노동시장론(문제별) / 노동시장론(과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시장론] 2021년 2회차 필기 기출문제 (0) | 2021.05.16 |
---|---|
[직업정보론] 2021년 2회차 필기 기출문제 (0) | 2021.05.16 |
[직업상담학] 2021년 2회차 필기 기출문제 (0) | 2021.05.16 |
(직상기출) 수퍼의 발달적 직업상담 (0) | 2021.05.16 |
(노시기출) 실업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