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 케인즈(Keynes)의 실업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노동의 공급은 실질임금의 함수이며, 노동에 대한 수요는 명목임금의 함수이다.
② 노동자들은 화폐환상을 갖고 있어 명목임금의 하락에 저항하므로 명목임금은 하방경직성을 갖는다.
③ 비자발적 실업의 원인을 유효수요의 부족으로 설명하였다.
④ 실업의 해소방안으로 재정투융자의 확대, 통화량의 증대 등을 주장하였다.
72. 노동시장과 실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최저임금제는 비숙련 노동자에게 해당된다.
② 해고자, 취업 대기자, 구직포기자는 실업자에 포함된다.
③ 효율성임금은 노동자의 이직을 막기 위해 시장균형 임금보다 높다.
④ 최저임금, 노동조합 또는 직업탐색 등이 실업의 원인에 포함된다.
80. 실업을 수요부족실업과 비수요부족실업으로 구분할 때 비수요부족실업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경기적 실업 ㄴ. 마찰적 실업
ㄷ. 구조적 실업 ㄹ. 계절적 실업
① ㄱ ② ㄴ, ㄷ
③ ㄱ, ㄴ, ㄹ ④ ㄴ, ㄷ, ㄹ
61. 실업-결원곡선(Beveridge curv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종축에는 결원수, 횡축에는 실업자수를 표시한다.
②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구조적 실업자수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③ 마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④ 현재의 실업자수에서 현재의 결원수를 뺀 것이 수요부족실업자수이다.
정답
실업
수요부족실업
경기적 실업(Cyclical Unemployment) : 불경기로 인해 생기는 실업. 수요부족실업
비수요부족실업
마찰적 실업 (frictional unemployment) :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이 일시적으로 불균형한 상태가 되어 생기는 실업.
구조적 실업 (structural unemployment) : 자본주의 경제구조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장기적이고 고정적인 실업.
계절적 실업 (seasonal unemployment) : 계절에 따른 수요의 차이로 인하여 생기는 실업
[2017.08.26.(3회)]
케인즈(Keynes)의 실업이론
① 노동자들은 화폐환상을 갖고 있어 명목임금의 하락에 저항하므로 명목임금은 하방경직성을 갖는다.
② 비자발적 실업의 원인을 유효수요의 부족으로 설명하였다.
③ 실업의 해소방안으로 재정투융자의 확대, 통화량의 증대 등을 주장하였다.
67. 케인즈(Keynes)의 실업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노동의 공급은 실질임금의 함수이며, 노동에 대한 수요는 명목임금의 함수이다.
② 노동자들은 화폐환상을 갖고 있어 명목임금의 하락에 저항하므로 명목임금은 하방경직성을 갖는다.
③ 비자발적 실업의 원인을 유효수요의 부족으로 설명하였다.
④ 실업의 해소방안으로 재정투융자의 확대, 통화량의 증대 등을 주장하였다.
[ 2021.03.07.(1회) ]
노동시장과 실업
① 최저임금제는 비숙련 노동자에게 해당된다.
② 해고자, 취업 대기자는 실업자에 포함된다.
③ 효율성임금은 노동자의 이직을 막기 위해 시장균형 임금보다 높다.
④ 최저임금, 노동조합 또는 직업탐색 등이 실업의 원인에 포함된다.
※ 구직단념자(구직포기자) :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있으므로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에 해당된다.
72. 노동시장과 실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최저임금제는 비숙련 노동자에게 해당된다.
② 해고자, 취업 대기자, 구직포기자는 실업자에 포함된다.
③ 효율성임금은 노동자의 이직을 막기 위해 시장균형 임금보다 높다.
④ 최저임금, 노동조합 또는 직업탐색 등이 실업의 원인에 포함된다.
[ 2020.09.26.(4회) ]
80. 실업을 수요부족실업과 비수요부족실업으로 구분할 때 비수요부족실업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경기적 실업 ㄴ. 마찰적 실업
ㄷ. 구조적 실업 ㄹ. 계절적 실업
① ㄱ ② ㄴ, ㄷ
③ ㄱ, ㄴ, ㄹ ④ ㄴ, ㄷ, ㄹ
[2019.04.27.(2회)]
* 실업-결원곡선(失業-缺員曲線) = 베버리지 곡선(Beveridge curve)
노동 공급(실업률) 및 수요(결원율)의 관계를 그린 곡선.
① 종축에는 결원수, 횡축에는 실업자수를 표시한다.
②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구조적 실업자수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③ 현재의 실업자수에서 현재의 결원수를 뺀 것이 수요부족실업자수이다.
베버리지 곡선


실업(Unemployment), 결원(Vacancy)
61. 실업-결원곡선(Beveridge curv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종축에는 결원수, 횡축에는 실업자수를 표시한다.
②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구조적 실업자수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③ 마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④ 현재의 실업자수에서 현재의 결원수를 뺀 것이 수요부족실업자수이다.
[2019.03.03.(1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학] 2021년 2회차 필기 기출문제 (0) | 2021.05.16 |
---|---|
(직상기출) 수퍼의 발달적 직업상담 (0) | 2021.05.16 |
(노시기출) 파급효과와 위협효과 (0) | 2021.05.13 |
(노시기출) 인적자본이론과 선별가설 (0) | 2021.05.13 |
(노시기출) 기타 임금 형태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