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 노동조합 조직부문과 비조직 부문간의 임금격차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비르게 짝지은 것은?
ㄱ. 이전 효과(spillover effect)
ㄴ. 위협효과(threat effect)
ㄷ. 대기실업효과(wait unemployment effect)
ㄹ. 해고효과(displacement effect)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ㄹ
64. 다음 중 노동조합의 경제적 효과 중 파급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파급효과는 노동조합이 조직됨으로써 노동조합 조직 부문에서의 상대적 노동수요가 감소하고 그 결과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이 비조직부문의 임금을 하락시키는 효과이다.
② 파급효과는 노동조합의 잠재적인 조집위협에 의해서 비조직 부문의 노동자의 임금이 인상되는 효과이다.
③ 파급효과가 매우 강한 경우에는 노동조합이 이중노동시장을 형성시키게 한다.
④ 파급효과가 강한 경우 조직부문의 임금인상이 비조합원을 저임금의 불안정한 직무로 몰아내는 간접효과를 가진다.
정답
72. 노동조합 조직부문과 비조직 부문간의 임금격차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비르게 짝지은 것은?
ㄱ. 이전 효과(spillover effect)
ㄴ. 위협효과(threat effect)
ㄷ. 대기실업효과(wait unemployment effect)
ㄹ. 해고효과(displacement effect)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ㄹ
노동조합의 경제적 효과 중 파급효과
① 파급효과는 노동조합이 조직됨으로써 노동조합 조직 부문에서의 상대적 노동수요가 감소하고 그 결과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이 비조직부문의 임금을 하락시키는 효과이다.
② 파급효과가 매우 강한 경우에는 노동조합이 이중노동시장을 형성시키게 한다.
③ 파급효과가 강한 경우 조직부문의 임금인상이 비조합원을 저임금의 불안정한 직무로 몰아내는 간접효과를 가진다.
☞ 노동조합이 노동공급을 제한함으로써 노동조합 조직부문에서의 상대적 노동수요가 감소하고, 그 결과 실업노동자들이 비조직부문으로 내몰려 비조직 부문의 임금을 하락시키게 되는데, 이를 파급효과 또는 이전효과(Spillover Effect)'라고
64. 다음 중 노동조합의 경제적 효과 중 파급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파급효과는 노동조합이 조직됨으로써 노동조합 조직 부문에서의 상대적 노동수요가 감소하고 그 결과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이 비조직부문의 임금을 하락시키는 효과이다.
② 파급효과는 노동조합의 잠재적인 조집위협에 의해서 비조직 부문의 노동자의 임금이 인상되는 효과이다.
③ 파급효과가 매우 강한 경우에는 노동조합이 이중노동시장을 형성시키게 한다.
④ 파급효과가 강한 경우 조직부문의 임금인상이 비조합원을 저임금의 불안정한 직무로 몰아내는 간접효과를 가진다.
[2018.04.28.(2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상기출) 수퍼의 발달적 직업상담 (0) | 2021.05.16 |
---|---|
(노시기출) 실업 (0) | 2021.05.13 |
(노시기출) 인적자본이론과 선별가설 (0) | 2021.05.13 |
(노시기출) 기타 임금 형태 (0) | 2021.05.13 |
(노시기출) 임금이론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