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_80. 다음 중 임금수준의 결정원칙이 아닌 것은?
① 사회적 균형의 원칙
② 생계비 보장의 원칙
③ 소비욕구 반영의 원칙
④ 기업 지불 능력의 원칙
69. 임금 - 물가 악순환설, 지불능력설, 한계생산력설 등에 영향을 미친 임금결정이론은?
① 임금생존비설
② 임금철칙설
④ 노동가치설
④ 임금기금설
78. 고전학과의 임금론인 임금생존비설과 마르크스의 노동력 재생산비설의 유사점은?
① 노동수요측면의 역할을 중요시한다는 점
② 임금수준은 노동자와 그 가족의 생활필수품의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
③ 맬더스의 인구법칙에 따른 인구의 증감에 의해 임금이 생존비수준에 수렴한다는 점
① 임금의 상대적 저하경향과 자본에 의한 노동의 착취를 설명하는 점
80. 인적자본론의 노동이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임금률이 높을수록 해고율은 높다.
② 사직률과 해고율은 경기변동에 따라 상반되는 관련성을 갖고 있다.
③ 사직률과 해고율은 기업특수적 인적자본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④ 인적자본론에서는 장기근속자일수록 기업 특수적 인적 자본량이 많아져 해고율이 낮아진다고 주장한다.
68. 임금기금설(wage-fund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임금기금의 규모는 일정하므로 시장임금의 크기는 임금기금을 노동자의 수로 나눈 값이 된다.
② 임금기금설은 노동공급측면의 역할을 중시한 노동의 장기적인 자연가격결정론에 해당된다.
③ 임금기금설은 고임금이 고실업률을 야기한다고 항 고용이론에 영향을 주었다.
④ 임금기금설에 따라 노동조합의 교섭력을 통한 임금의 인상이 불가능하다는 노동조합무용론이 제기되었다.
정답
임금이론
임금생존비설(賃金生存費說)
17세기 중상주의를 배경으로 케네(Quesnay, F.)에 의해 주장되고, 스미스(Smith, A.), 리카도(Ricardo, D.)에 의해 완성됨
① 임금은 노동의 재생산비인 노동자 및 그 가족의 생활을 유지해 나가는 데 필요한 최저생활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는 이론.
② 임금이 생존비 이상 상승 → 결혼증가 → 노동자수 증가 → 노동공급 증가 → 임금하락 → 노동자의 빈곤 → 결혼감소·국외이주의 증가 → 노동자수 감소→ 노동공급 감소 → 임금상승
③ 임금이 장기적으로 근로자의 최저 생존비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는 이론. 임금철칙선이는 측면도 있다.
맬서스의 인구법칙 : Malthusian law of population
인구증가보다 경제성장은 더디게 나타나 전반적인 번영은 불가능하다는 법칙. 산업화가 가져온 급격한 생산성 증가를 고려하지 않음.
임금철칙설(賃金鐵則設) : theory of iron law of wages
평균임금이 생계유지와 자손번식을 위해 관습적으로 필요로 하는 생필품의 양이 측정되는 수준에서 결정된다는 설.
임금기금설(賃金基金說) : wage-fund theory
19세기에 맬서스(Malthus, T.R.)가 발상, 제임스 밀(Mill, J.), 존 스튜어트 밀(Mill, J.S.)에 의해서 정식화
임금 - 물가 악순환설, 지불능력설, 한계생산력설 등에 영향을 미친 임금결정이론
① 임금기금의 규모는 일정하므로 시장임금의 크기는 임금기금을 노동자의 수로 나눈 값이 된다.
② 임금기금설은 고임금이 고실업률을 야기한다고 하여 고용이론에 영향을 주었다
③ 임금기금설에 따라 노동조합의 교섭력을 통한 임금의 인상이 불가능하다는 노동조합무용론이 제기되었다.
* 노동조합무용론 :
노조가 임금을 인상 → 다른 근로자에게 돌아갈 몫이 감소 → 노동조합운동으로 전체의 임금수준은 향상시킬 수 없다.
후에 밀은 자신이 이 학설의 오류를 공식적으로 인정
*임금기금설은 20세기에 등장한 임금이론에 영향을 줌.
물가 악순환론(物價惡循環論)
지불능력설(支拂能力說)
한계생산력설(限界生産力說)
*임금생존비설(賃金生存費說) : wage subsistence theory
임금수준은 노동의 재생산비인 노동자와 그 가족의 생활비에 의해 결정된다는 학설
단체교섭설(團體交涉說)
= 임금교섭설(賃金交涉說)
한계생산성의 원리에 의해 교섭의 범위는 결정되지만, 임금은 주어진 범위내에서의 교섭력에 따라 결정된다는 이론.
69. 임금 - 물가 악순환설, 지불능력설, 한계생산력설 등에 영향을 미친 임금결정이론은?
① 임금생존비설
② 임금철칙설
④ 노동가치설
④ 임금기금설
[ 2021.03.07.(1회) ]
고전학과의 임금론인 임금생존비설과 마르크스의 노동력 재생산비설의 유사점
임금수준은 노동자와 그 가족의 생활필수품의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
78. 고전학과의 임금론인 임금생존비설과 마르크스의 노동력 재생산비설의 유사점은?
① 노동수요측면의 역할을 중요시한다는 점
② 임금수준은 노동자와 그 가족의 생활필수품의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
③ 맬더스의 인구법칙에 따른 인구의 증감에 의해 임금이 생존비수준에 수렴한다는 점
① 임금의 상대적 저하경향과 자본에 의한 노동의 착취를 설명하는 점
[2019.08.04.(3회)]
인적자본론의 노동이동
① 사직률과 해고율은 경기변동에 따라 상반되는 관련성을 갖고 있다.
② 사직률과 해고율은 기업특수적 인적자본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③ 인적자본론에서는 장기근속자일수록 기업 특수적 인적 자본량이 많아져 해고율이 낮아진다고 주장한다.
80. 인적자본론의 노동이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임금률이 높을수록 해고율은 높다.
② 사직률과 해고율은 경기변동에 따라 상반되는 관련성을 갖고 있다.
③ 사직률과 해고율은 기업특수적 인적자본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④ 인적자본론에서는 장기근속자일수록 기업 특수적 인적 자본량이 많아져 해고율이 낮아진다고 주장한다.
[2019.03.03.(1회)]
68. 임금기금설(wage-fund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임금기금의 규모는 일정하므로 시장임금의 크기는 임금기금을 노동자의 수로 나눈 값이 된다.
② 임금기금설은 노동공급측면의 역할을 중시한 노동의 장기적인 자연가격결정론에 해당된다. ☞ 임금생존비설
③ 임금기금설은 고임금이 고실업률을 야기한다고 항 고용이론에 영향을 주었다.
④ 임금기금설에 따라 노동조합의 교섭력을 통한 임금의 인상이 불가능하다는 노동조합무용론이 제기되었다.
[2018.08.19.(3회)]
B_80. 다음 중 임금수준의 결정원칙이 아닌 것은?
① 사회적 균형의 원칙
② 생계비 보장의 원칙
③ 소비욕구 반영의 원칙
④ 기업 지불 능력의 원칙
[2021.05.15.(2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 직업상담학(과목별) 직업심리학(문제별) / 직업심리학(과목별) 직업정보론(문제별) / 직업정보론(과목별) 노동시장론(문제별) / 노동시장론(과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시기출) 인적자본이론과 선별가설 (0) | 2021.05.13 |
---|---|
(노시기출) 기타 임금 형태 (0) | 2021.05.13 |
(노시기출) 노동시장의 균형 (0) | 2021.05.13 |
(노시기출) 노동공급의 탄력성 (0) | 2021.05.13 |
(노시기출) 노동수요의 의미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