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노동 수요측면에서 비정규직 증가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세계화에 따른 기업 간 경쟁 환경의 변화
② 정규직 근로자 해고의 어려움
③ 고학력 취업자의 증가
④ 정규노동자, 고용비용의 증가
64. 최종생산물이 수요자에 의하여 수요되기 때문에 그 최종생산물을 생산하는 데 투입되는 노동이 수요된다고 할 때 이러한 수요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유효수요 ② 잠재수요
③ 파생수요 ④ 실질수요
정답
노동수요(勞動需要) : demand of labor
노동에 대한 수요.
장기 노동 수요(長期勞動需要)
기업이 자본을 조정할 수 있을 때, 장기간 노동력을 구입할 의사가 있는 노동의 양.
기업은 자본과 노동 모두를 선택하여 이윤을 극대화한다.
단기 노동 수요(短期勞動需要)
기업이 자본을 조정할 수 없을 때. 단기간 노동력을 구입할 의사가 있는 노동의 양.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노동의 양을 증가시킨다.
유량(流量) : flow
수요를 말할 때, 일정시점에서가 아닌 일정기간 동안에 기업들이 구입할 의도를 나타나는 양,
파생수요(派生需要)
최종생산물이 수요자에 의하여 수요되기 때문에 그 최종생산물을 생산하는 데 투입되는 노동이 수요된다고 할 때 이러한 수요를 파생수요라고 한다.
≒ 유발수요(誘發需要)
결합수요(結合需要) : joint demand
일반적으로 함께 사용되는 두 가지 또는 둘 이상의 생산물에 대한 수요.
노동에 대한 수요의 경우, 노동자체만 아니라 생산설비와 같은 자본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수요.
노동수요의 결정요인
① 임금
임금이 올라가면 노동의 수요는 줄어들고, 임금이 하락하면 노동의 수요는 늘어나게 된다.
② 상품수요
상품수요가 증가하면, 생산량이 늘고, 노동자수요가 증가하게 된다.
반면 상품수요가 감소하면, 생산량이줄고, 노동자수요도 감소하게 된다.
③ 다른 생산요소의 가격
재료비가 상승하면, 제품가격 상승으로 제품 수요가 줄게되어 결국 노동의 수요는 감소하게 될 것이다.
④ 노동생산성의 변화, 생산기술방식의 변화
노동생산성의 변화나 생산기술방식의 변화로 생산성이 높아져서 제품단가가 줄어들면, 제품소비가 늘고 노동수요도 늘어나지만, 소비가 증가되지 않는다면 노동수요는 줄어들게 된다.
노동 수요측면에서 비정규직 증가의 원인
① 세계화에 따른 기업 간 경쟁 환경의 변화
② 정규직 근로자 해고의 어려움
③ 정규노동자, 고용비용의 증가
62. 노동 수요측면에서 비정규직 증가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세계화에 따른 기업 간 경쟁 환경의 변화
② 정규직 근로자 해고의 어려움
③ 고학력 취업자의 증가
④ 정규노동자, 고용비용의 증가
[ 2021.03.07.(1회) ]
64. 최종생산물이 수요자에 의하여 수요되기 때문에 그 최종생산물을 생산하는 데 투입되는 노동이 수요된다고 할 때 이러한 수요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유효수요 ② 잠재수요
③ 파생수요 ④ 실질수요
[ 2020.08.22.(3회) ]
직상 2차 실기 노동수요탄력성 요인
youtu.be/w7ZNsj0NBNo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시기출) 노동시장의 균형 (0) | 2021.05.13 |
---|---|
(노시기출) 노동공급의 탄력성 (0) | 2021.05.13 |
노동시장론(과목별) (0) | 2021.05.13 |
(직심기출) 고용통계용어 (0) | 2021.05.12 |
직업정보론(과목별) (0) | 2021.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