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_65. 다음 중 최저임금제도의 기대효과가 아닌 것은?
① 소득분배 개선
② 기업 간 공정경쟁 유도
③ 고용 확대
④ 산업구조의 고도화
69. 다음 중 최저임금제 도입의 직접적인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고용 확대 ② 구매력 증대
③ 생계비 보장 ④ 경영합리화 유도
66. 다음 중 최저임금제가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상황은?
① 노동수요곡선과 노동공급곡선이 모두 탄력적일 때
② 노동수요곡선과 노동공급곡선이 모두 비탄력적일 때
③ 노동수요곡선이 탄력적이고 노동공급곡선이 비탄력적일 때
④ 노동수요곡선이 비탄력적이고 노동공급곡선이 탄력적일 때
72. 최저임금제도의 기본취지 및 기대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보호
② 산업평화의 유지
③ 유효수요의 억제
④ 산업간·직업간 임금격차의 축소
정답
최저임금제(最低賃金制) : Minimum Wage System
국가가 임금액의 최저한도를 결정하고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불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는 제도.
대한민국헌법
제32조 ①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사회적ㆍ경제적 방법으로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하여야 하며,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최저임금제를 시행하여야 한다.
최저임금법
제1조(목적) 이 법은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수준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꾀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개정 2008. 3. 21.]
제4조(최저임금의 결정기준과 구분) ① 최저임금은 근로자의 생계비, 유사 근로자의 임금, 노동생산성 및 소득분배율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이 경우 사업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정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사업의 종류별 구분은 제12조에 따른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한다. <개정 2010. 6. 4.>
[전문개정 2008. 3. 21.]
제11조(주지 의무) 최저임금의 적용을 받는 사용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최저임금을 그 사업의 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거나 그 외의 적당한 방법으로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전문개정 2008. 3. 21.]
최저임금
① 2021년부터는 전년 대비 1.5% 인상한 8720원이다
② 최저임금은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용노동부장관이 결정한다.
③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한다.
④ 최저임금 적용을 받는 사용자는 최저임금액을 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거나 그 외 적당한 방법으로 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한다.
최저임금위원회
최저임금법(最低賃金法) : Minimum Wages Act
최저임금제 도입의 목적
① 구매력 증대
② 생계비 보장
③ 경영합리화 유도
최저임금제도의 기본취지 및 기대효과
①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보호
② 산업평화의 유지
③ 산업간·직업간 임금격차의 축소
④ 소득분배 개선
⑤ 기업 간 공정경쟁 유도
⑥ 산업구조의 고도화
최저임금제와 탄력성
최저임금제의 실행 → 최저임금이 적용되는 근로자의 총소득이 증가→ 임금증가분에 비해 노동수요의 감소폭이 작다는 것을 의미 → 노동수요의 탄력성은 비탄력적
최저임금제의 실행 → 근로자의 총소득이 감소 → 임금증가분에 비해 노동수요감소폭이 크다는 것을 의미 → 노동수요가 탄력적
노동수요곡선이 비탄력적인 경우에 최저임금제실시에 실효성이 있다.
노동수요곡선과 노동공급곡선이 모두 탄력적일 때, 최저임금제가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크다.
최저임금제와 수요독점
수요독점시장(需要獨占市場)
한 기업에만 노동의 수요가 국한되어 있는 시장.
완전고용시장보다 낮은 임금과 낮은 고용량으로 이윤을 극대화할수 있는 시장.
독점적 착취로 인해 노동자에게 불리한 시장
최저임금제의 실시
수요독점시장에서의 최저임금제의 실시 → 고용이 다소 증가
(완전경쟁시장일 때보다 근로자에게 유리 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B_65. 다음 중 최저임금제도의 기대효과가 아닌 것은?
① 소득분배 개선
② 기업 간 공정경쟁 유도
③ 고용 확대
④ 산업구조의 고도화
[2021.05.15.(2회)]
69. 다음 중 최저임금제 도입의 직접적인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고용 확대 ② 구매력 증대
③ 생계비 보장 ④ 경영합리화 유도
[ 2020.08.22.(3회)]
수요의 가격 탄력성 : 가격 변화에 따른 수요량 변화의 민감도
비탄력적 : 가격 탄력성의 값이 1보다 작은 경우.
예) 기본 생필품과 같은 필수재는 비싸도 구매하게 되므로 가격 탄력성이 1보다 작다.
탄력적 : 가격 탄력성의 값이 1보다 큰 경우.
예) 가격이 오르면 포기하게 되는 사치품이나 다른 대체재를 사용할 수 있는 재화는 가격 탄력성의 값이 1보다 크다.
66. 다음 중 최저임금제가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상황은?
① 노동수요곡선과 노동공급곡선이 모두 탄력적일 때
② 노동수요곡선과 노동공급곡선이 모두 비탄력적일 때
③ 노동수요곡선이 탄력적이고 노동공급곡선이 비탄력적일 때
④ 노동수요곡선이 비탄력적이고 노동공급곡선이 탄력적일 때
[2019.04.27.(2회)]
72. 최저임금제도의 기본취지 및 기대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저임금 노동자의 생활보호
② 산업평화의 유지
③ 유효수요의 억제
④ 산업간·직업간 임금격차의 축소
[2019.03.03.(1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시기출) 분단노동시장 (0) | 2021.05.01 |
---|---|
(노시기출) 내부노동시장 (0) | 2021.05.01 |
(노시기출) 필립스곡선 (0) | 2021.05.01 |
(노시기출) 던롭(Dunlop) (0) | 2021.05.01 |
(노시기출) 실업률 (0) | 2021.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