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자리/직업상담사시험

(노시기출) 실업률

by Gabeochi 2021. 5. 1.

62. 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직업훈련 기회의 제공 

② 재정지출의 축소 

③ 금리 인하 

④ 법인세 인하

67. 다음 표에서 실업률은?

총인구     생산가능인구    취업자    실업자 
100만명      60만명        36만명     4만명 

① 4.0%     ② 6.7%     ③ 10.0%     ④ 12.5%


72. 노동력의 10%가 매년 구직활동을 하고 구직에 평균 3개월이 소요되는 경우 연간 몇 %의 실업률이 나타나게 되는가?

① 2.5%      ② 2.7% 

③ 3.0%      ① 3.3%


72. 전체 근로자의 20%가 매년 새로운 일자리를 찾고 있으며 직업탐색기간이 평균 3개월이라면 마찰적 실업률은? 

① 1%    ② 5%    ③ 6%    ④ 10%


74. 어느 국가의 생산가능인구의 구성비가 다음과 같을 때 이 국가의 실업률은?

① 6.0%      ② 10.0% 

③ 11.1%    ④ 13.2% 

75. 실업률과 물가상승률간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은?

① 래퍼곡선            ② 필립스곡선 

③ 로렌즈곡선         ④ 테일러곡선 


70. 다음 표를 이용하여 실업률을 계산하면 약 얼마인가? 

(단위 : 만 명)

총인구   15세 미만 인구   비경제활동 인구   취업자 수
5,000             1,000                     800                3,000

① 5.00%          ② 6.25% 

③ 6.33%          ④ 6.67% 




      정답                                                         



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대책

① 직업훈련 기회의 제공 

② 금리 인하 

③ 법인세 인하



경제활동인구(經濟活動人口) :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만15세 이상의 생산가능 연령인구 중에서 일할 능력이 있어 구직활동이 가능한 취업자 및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非經濟活動人口)

만 15세 이상의 인구 생산가능 연령인구 중에서 일할 의사가 없거나, 전혀 일할 능력이 없는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


62. 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직업훈련 기회의 제공 

② 재정지출의 축소 

③ 금리 인하 

④ 법인세 인하

2020.08.22.(3회)]


67. 다음 표에서 실업률은?

총인구     생산가능인구    취업자    실업자 
100만명      60만명           36만명     4만명 

① 4.0%     ② 6.7%     ③ 10.0%     ④ 12.5%

2020.08.22.(3회)]


실업률 = (실업자수 ÷ 경제활동인구) × 100

             = (4만명 / 40만명) x 100%

             = 10%

경제활동인구 : 만15세 이상의 생산가능 연령인구 중에서 구직활동이 가능한 취업자 및 실업자


72. 노동력의 10%가 매년 구직활동을 하고 구직에 평균 3개월이 소요되는 경우 연간 몇 %의 실업률이 나타나게 되는가?

① 2.5%      ② 2.7% 

③ 3.0%      ① 3.3%

[2020.06.06.(1, 2회차 통합)]


실업률 = (실업자수 ÷ 경제활동인구) × 100

매년 10%의 근로자가 구직활동, 

직업탐색기간이 평균 3개월 → 12개월 ÷ 3개월 = 4

실업률 = 10% ÷ 4 = 2.5%


72. 전체 근로자의 20%가 매년 새로운 일자리를 찾고 있으며 직업탐색기간이 평균 3개월이라면 마찰적 실업률은? 

① 1%    ② 5%    ③ 6%    ④ 10%

[2019.08.04.(3회)]

실업률 = (실업자수 ÷ 경제활동인구) × 100

매년 10%의 근로자가 구직활동, 

직업탐색기간이 평균 3개월 → 12개월 ÷ 3개월 = 4

실업률 = 20% ÷ 4 = 5%



부가노동자효과(附加勞動者效果) : added worker effect

경기침체로 인해 비경제활동인구가 노동시장에 뛰어들면서 실업률이 높아지는 효과

실망실업자효과(失望失業者效果) : discouraged worker effect

경기침체로 인해 직장을 구하지 못한 실업자가 구직활동을 포기함으로써 비경제활동인구로 포함되면서 실업률을 감소시키는 효과


65. 불경기에 발생하는 부가노동자효과 (added worker effect)와 실망실업자효과 (discouraged worker effect)에 따라 실업률이 변화한다. 다음 중 실업률에 미치는 효과의 방향성이 옳은 것은? 
(단, + : 상승효과, - : 감소효과)

① 부가노동자효과 : +, 실망실업자효과 : - 

② 부가노동자효과 : -, 실망실업자효과 : - 

③ 부가노동자효과 : +, 실망실업자효과 : + 

④ 부가노동자효과 : -, 실망실업자효과 : +

[2019.04.27.(2회)]


74. 어느 국가의 생산가능인구의 구성비가 다음과 같을 때 이 국가의 실업률은?

① 6.0%      ② 10.0% 

③ 11.1%    ④ 13.2% 

[2019.03.03.(1회)]

실업률 = (실업자수 ÷ 경제활동인구) × 100

            = (6 ÷ 60) x 100%

            = 10%


필립스 곡선(Phillips曲線) : Phillips curve

임금 상승률과 실업률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실업률이 높을수록 임금 상승률이 낮아지고, 실업률이 낮을수록 임금 상승률이 높다.

역의 상관관계(逆의 相關關係) 

두 가지 가운데 한쪽이 증가하면 다른 한쪽은 감소하는 관계


75. 실업률과 물가상승률간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은?

① 래퍼곡선            ② 필립스곡선 

③ 로렌즈곡선         ④ 테일러곡선 

[2019.03.03.(1회)]



75. 실업률과 물가상승률간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은?

① 래퍼곡선            ② 필립스곡선 

③ 로렌즈곡선         ④ 테일러곡선 

[2019.03.03.(1회)]



70. 다음 표를 이용하여 실업률을 계산하면 약 얼마인가? 

(단위 : 만 명)

총인구   15세 미만 인구   비경제활동 인구   취업자 수
5,000             1,000                     800                3,000

① 5.00%          ② 6.25% 

③ 6.33%          ④ 6.67% 

[2018.08.19.(3회)]


경제활동인구 = 총인구 -  15세 미만 인구  비경제활동 인구

                       = 5,000만명  1,000만명   800만명 

                       = 3,200만명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 3,200만명  3,000만명

            = 200만명


실업률 = (실업자수 ÷ 경제활동인구) × 100

            = (200만명 ÷ 3,200만명) × 100

            = 6.25%



80. 다음 중 경기침체 시 실업률이 높아질 때 경제활동인구가 감소되는 효과는?

①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

② 부가노동자효과(added worker effect)

③ 대기실업효과(wait-unemployment effect)

④ 실망노동자효과(discouraged worker effect)

[2018.08.19.(3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저작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