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자리/직업상담사시험

(노시기출) 분단노동시장

by Gabeochi 2021. 5. 1.

72. 다음 중 분단노동시장 이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빈곤퇴치를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쉽게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② 내부노동시장과 외부노동시장은 현격하게 다른 특성을 갖는다.

③ 근로자는 임금을 중심으로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직무를 중심으로 경쟁하기도 한다.


④ 고학력 실업자가 증가하면 단순노무직의 임금도 하락한다.


75. 분단노동시장(segmented labor market) 가설의 출현배경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능력분포와 소득분포의 상이

② 교육개선에 의한 빈곡퇴치 실패

③ 소수인종에 대한 현실적 차별

④ 동질의 노동에 동일한 임금


64. 다음 중 분단노동시장가설이 암시하는 정책적 시사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노동시장의 공급측면에 대한 정부개입 또는 지원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이다. 

② 공공적인 고용기회의 확대나 임금보조, 차별대우 철폐를 주장한다. 

③ 외부노동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④ 노동의 인간화를 도모하기 위한 의식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




      정답                                                         


분단노동시장 이론

① 빈곤퇴치를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쉽게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② 내부노동시장과 외부노동시장은 현격하게 다른 특성을 갖는다.

③ 근로자는 임금을 중심으로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직무를 중심으로 경쟁하기도 한다.



분단노동시장(segmented labor market) 가설의 출현배경

① 능력분포와 소득분포의 상이

② 교육개선에 의한 빈곡퇴치 실패

③ 소수인종에 대한 현실적 차별

분단노동시장가설이 암시하는 정책적 시사점
 
① 노동시장의 공급측면에 대한 정부개입 또는 지원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이다. 

② 공공적인 고용기회의 확대나 임금보조, 차별대우 철폐를 주장한다. 

 노동의 인간화를 도모하기 위한 의식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

분단 노동 시장(分斷勞動市場),  segmented labor market 

경제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직업들이 고임금, 장기적인 고용 관계, 좋은 근로 조건, 승진의 기회 그리고 합리적인 노무 관리로 특징지어지는 '1차 노동 시장'과 저임금, 단기적 고용 관계, 열악한 근로 조건, 승진의 기회 부재 그리고 불합리한 노무 관계로 특징지어지는 '2차 노동 시장' 사이에 노동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

내부 노동 시장(內部勞動市場), internal labor market 

장기 고용관계에서 기업 내부의 관리나 규칙 등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임금이나 직위 등이 결정되는 구조. 또는 그 장소

외부 노동 시장(外部勞動市場),  External Labor Market

기업 내부의 노동시장과 무관하게 노동력이 상품으로 거래되고 그 수급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는 구조. 또는 그런 장소.



72. 다음 중 분단노동시장 이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빈곤퇴치를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쉽게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② 내부노동시장과 외부노동시장은 현격하게 다른 특성을 갖는다.

③ 근로자는 임금을 중심으로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직무를 중심으로 경쟁하기도 한다.


 고학력 실업자가 증가하면 단순노무직의 임금도 하락한다.

2021.03.07.(1회) ]


75. 분단노동시장(segmented labor market) 가설의 출현배경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능력분포와 소득분포의 상이

② 교육개선에 의한 빈곡퇴치 실패

③ 소수인종에 대한 현실적 차별

④ 동질의 노동에 동일한 임금

[ 2020.09.26.(4회) ]


64. 다음 중 분단노동시장가설이 암시하는 정책적 시사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노동시장의 공급측면에 대한 정부개입 또는 지원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이다. 

② 공공적인 고용기회의 확대나 임금보조, 차별대우 철폐를 주장한다. 

③ 외부노동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④ 노동의 인간화를 도모하기 위한 의식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

[2020.06.06.(1, 2회차 통합)]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저작권 안내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시기출) 임금체계  (0) 2021.05.01
(노시기출) 마찰적 실업  (0) 2021.05.01
(노시기출) 내부노동시장  (0) 2021.05.01
(노시기출) 최저임금제  (0) 2021.05.01
(노시기출) 필립스곡선  (0) 2021.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