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자리/직업상담사시험

(노시기출) 임금체계

by Gabeochi 2021. 5. 1.

B_62. 근로자의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임금체계는?

① 연공급

② 직무급

③ 직능급

④ 성과급


70. 임금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직무급은 조직의 안정화에 따른 위계질서 확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② 연공급의 단점 중 하나는 직무성과와 관련 없는 비합리적인 인건비 지출이 생긴다는 점이다. 

③ 직능급은 직무수행능력을 기준으로 하며 각 근로자의 임금을 결정하는 임금체계이다. 

④ 연공급의 기본적인 구조는 연령, 근속, 학력, 남녀별 요소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것으로 정기승급의 축적에 따라 연령별로 필요생계비를 보장해 주는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75. 임금체계의 공평성(equ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승자일체 취득의 원칙을 말한다. 

② 최저생활을 보장해 주는 임금원칙을 말한다. 

③ 근로자의 공헌도에 비례하여 임금을 지급한다. 

④ 연령, 근속년수가 같으면 동일한 임금을 지급한다.


76. 직능급 임금체계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조직의 안정화에 따른 위계질서 확립이 용이하다. 

② 직무에 상응하는 임금을 지급한다. 

③ 학력과 직종에 관계없이 능력에 따라 임금을 지급한다. 

④ 무사안일주의 및 적당주의를 초래할 수 있다.

69. 임금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직능급은 개인의 직무수행능력을 고려하여 임금을 관리하는 체계이다. 

② 속인급은 연령, 근속, 학력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체계이다. 

③ 직무급은 직무분석과 직무평가를 기초로 직무의 상대적 가치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체계이다. 

④ 연공급은 근로자의 생산성에 바탕을 둔 임금체계이다.


76. 다음 중 직무급 임금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정기승급에 의한 생활안정으로 근로자의 기업에 대한 귀속의식을 고양시킨다. 

② 기업풍토, 업무내용 등에서 보수성이 강한 기업에 적합하다. 

③ 근로자의 능력을 직능고과의 평가결과에 따라 임금을 결정한다. 

④ 노동의 양뿐만 아니라 노동의 질을 동시에 평가하는 임금결정 방식이다.


67. 다음 중 직무급 임금체계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개인별 임금격차에 대한 불만 해소

② 연공급에 비해 실시가 용이

③ 인건비의 효율적 관리

④ 능력위주의 인사풍토 조성


      정답                                                         


임금체계

연공급 

기본적인 구조는 연령, 근속, 학력, 남녀별 요소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것으로 정기승급의 축적에 따라 연령별로 필요생계비를 보장해 주는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직능급 

학력과 직종에 관계없이 직무수행능력을 기준으로 하며 각 근로자의 임금을 결정하는 임금체계이다. 


직무급

직무분석과 직무평가를 기초로 직무의 상대적 가치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체계이다. 

노동의 양뿐만 아니라 노동의 질을 동시에 평가하는 임금결정 방식

속인급

연령, 근속, 학력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체계이다. 


B_62. 근로자의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임금체계는?

① 연공급

② 직무급

③ 직능급

④ 성과급

[2021.05.15.(2회)]


70. 임금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직무급은 조직의 안정화에 따른 위계질서 확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② 연공급의 단점 중 하나는 직무성과와 관련 없는 비합리적인 인건비 지출이 생긴다는 점이다. 

③ 직능급은 직무수행능력을 기준으로 하며 각 근로자의 임금을 결정하는 임금체계이다. 

④ 연공급의 기본적인 구조는 연령, 근속, 학력, 남녀별 요소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것으로 정기승급의 축적에 따라 연령별로 필요생계비를 보장해 주는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2021.03.07.(1회) ]


임금체계의 공평성(equity)

근로자의 공헌도에 비례하여 임금을 지급한다. 

75. 임금체계의 공평성(equ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승자일체 취득의 원칙을 말한다. 

② 최저생활을 보장해 주는 임금원칙을 말한다. 

③ 근로자의 공헌도에 비례하여 임금을 지급한다. 

④ 연령, 근속년수가 같으면 동일한 임금을 지급한다.

2020.08.22.(3회)]


76. 직능급 임금체계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조직의 안정화에 따른 위계질서 확립이 용이하다. 

② 직무에 상응하는 임금을 지급한다. 

③ 학력과 직종에 관계없이 능력에 따라 임금을 지급한다. 

④ 무사안일주의 및 적당주의를 초래할 수 있다.

[2019.08.04.(3회)]


69. 임금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직능급은 개인의 직무수행능력을 고려하여 임금을 관리하는 체계이다. 

② 속인급은 연령, 근속, 학력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체계이다. 

③ 직무급은 직무분석과 직무평가를 기초로 직무의 상대적 가치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체계이다. 

④ 연공급은 근로자의 생산성에 바탕을 둔 임금체계이다.  근속년수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2019.04.27.(2회)]


76. 다음 중 직무급 임금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정기승급에 의한 생활안정으로 근로자의 기업에 대한 귀속의식을 고양시킨다. 

② 기업풍토, 업무내용 등에서 보수성이 강한 기업에 적합하다. 

③ 근로자의 능력을 직능고과의 평가결과에 따라 임금을 결정한다. 

④ 노동의 양뿐만 아니라 노동의 질을 동시에 평가하는 임금결정 방식이다.


[2019.03.03.(1회)]


직무급 임금체계의 장점

① 개인별 임금격차에 대한 불만 해소

인건비의 효율적 관리

능력위주의 인사풍토 조성


67. 다음 중 직무급 임금체계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개인별 임금격차에 대한 불만 해소

② 연공급에 비해 실시가 용이

③ 인건비의 효율적 관리

④ 능력위주의 인사풍토 조성

[2018.08.19.(3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저작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