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_76. 임금상승이 한 거인의 여가와 노동시간에 미치는 효과 중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클 경우 나타나는 것은?
① 여가시간은 감소하지만 노동시간이 증가한다.
② 여가시간과 노동시간이 함께 증가한다.
③ 여가시간과 노동시간이 함께 감소한다.
④ 여가시간은 증가하지만 노동시간은 감소한다.
78. 만일 여가(leisure)가 열등재라면, 임금이 증가할 때 노동공급은 어떻게 변하는가?
① 임금수준에 상관없이 임금이 증가할 때 노동공급은 감소한다.
② 임금수준에 상관없이 임금이 증가할 때 노동공급은 증가 한다.
③ 낮은 임금수준에서 임금이 증가할 때는 노동공급이 증가하다가 임금수준이 높아지면 임금증가는 노동공급을 감소시킨다.
④ 낮은 임금수준에서 임금이 증가할 때는 노동공급이 감소하다가 임금수준이 높아지면 임금증가는 노동공급을 증가시킨다.
78. 임금상승의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클 경우, 노동공급곡선의 형태는?
① 우상승한다. ② 수평이다.
③ 좌상승한다. ④ 변함없다.
74. 다음의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시간외 근무수당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근로자들이 휴일 근무나 잔업처리 등을 기피하는 현상이 늘고 있다.
① 임금의 하방경직성
② 후방굴절형 노동공급곡선
③ 노동의 이력 현상(hysteresis)
④ 임금의 화폐적 현상
73. 만일 여가가 열등재라면 개인의 노동공급곡선의 형태는?
① 후방굴절한다 ② 완전 비탄력적이다.
③ 완전탄력적이다 ④ 우상향한다.
74. 다음은 후방굴절형의 노동공급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노동공급곡선상의 a, b구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소득효과 = 0
② 대체효과 = 0
③ 소득효과 < 대체효과
④ 소득효과 > 대체효과
71. 연장근로 등 일정량 이상의 노동을 기피하는 풍조가 확산된다면, 이 현상에 대한 분석도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최저임금제
② 후방굴절형 노동공급곡선
③ 화폐적 환상
④ 노동의 수요독점
67. 노동공급의 탄력성 값이 0인 경우 노동공급곡선의 형태는?
① 수평이다 ② 수직이다
③ 우상향이다 ④ 후방굴절형이다.
74. 임금상승에 따라 노동공급곡선이 후방굴절(상단부분에서 좌상향으로 굽어짐)을 보이는 이유는?
① 임금상승 시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보다 크기 때문이다.
② 임금상승 시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크기 때문이다.
③ 임금상승 시 소득효과와 대체효과가 같아지기 때문이다.
④ 임금상승 시 노동자들이 일을 더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정답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여가와 소득의 선택 모형
실질임금이 상승 → 여가의 기회비용이 이전보다 증가 → 여가 소비 감소, 노동시간 증가(대체효과 발생)
실질임금이 상승 → 동일 노동, 소득 증가 → 여가의 대한 선호가 증대 → 노동 시간을 감소(소득효과 발생)
실질임금이 그다지 높음 → 대체효과 > 소득효과 → 실질임금의 상승 → 노동공급량을 증대→ 노동공급곡선의 형태는 우상향.
실질임금이 높은 수준 → 소득효과 > 대체효과 → 실질임금의 상승 → 노동공급량의 감소(잔업 회피) → 노동공급곡선의 형태는 좌상승
실질임금이 일정한 수준을 넘어서면 후방으로 굴절(후방굴절 노동공급곡선)
여가가 열등재일 때 : 임금수준과 무관하게 우상향한다.
후방굴절형 노동공급곡선
경제성장과 더불어 시간외 근무수당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근로자들이 휴일 근무나 잔업처리 등을 기피하는 현상이 늘고 있다.
연장근로 등 일정량 이상의 노동을 기피하는 풍조가 확산된다면, 이 현상에 대한 분석도구로 가장 적합한 것
소득효과(所得效果), effect of income
어떤 상품의 가격 하락이 소비자의 실질소득을 증가시켜 가계의 재화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
대체효과(代替效果), substitution effect
제품 간 상대가격 변화에 의한 효과. 이제까지 마가린을 사던 사람이 버터값이 내리면 버터를 사는 것과 같은 현상
실질소득(實質所得), real income
물가 변동에 따른 영향을 감안해 조정한 소득. 명목소득을 물가지수로 나눈 것.소비자의 실질적인 구매력을 나타내는 수치
열등재(劣等財), Inferior Good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고, 소득이 감소함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나 서비스
만일 여가가 열등재라면 개인의 노동공급곡선의 형태 우상향한다.
여가(leisure)가 열등재라면, 임금수준에 상관없이 임금이 증가할 때 노동공급은 증가한다.
임금상승이 한 거인의 여가와 노동시간에 미치는 효과 중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클 경우 여가시간은 증가하지만 노동시간은 감소한다.
B_76. 임금상승이 한 거인의 여가와 노동시간에 미치는 효과 중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클 경우 나타나는 것은?
① 여가시간은 감소하지만 노동시간이 증가한다.
② 여가시간과 노동시간이 함께 증가한다.
③ 여가시간과 노동시간이 함께 감소한다.
④ 여가시간은 증가하지만 노동시간은 감소한다.
[2021.05.15.(2회)]
78. 만일 여가(leisure)가 열등재라면, 임금이 증가할 때 노동공급은 어떻게 변하는가?
① 임금수준에 상관없이 임금이 증가할 때 노동공급은 감소한다.
② 임금수준에 상관없이 임금이 증가할 때 노동공급은 증가한다.
③ 낮은 임금수준에서 임금이 증가할 때는 노동공급이 증가하다가 임금수준이 높아지면 임금증가는 노동공급을 감소시킨다.
④ 낮은 임금수준에서 임금이 증가할 때는 노동공급이 감소하다가 임금수준이 높아지면 임금증가는 노동공급을 증가시킨다.
[ 2021.03.07.(1회) ]
78. 임금상승의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클 경우, 노동공급곡선의 형태는?
① 우상승한다. ② 수평이다.
③ 좌상승한다. ④ 변함없다.
[ 2020.09.26.(4회) ]
74. 다음의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시간외 근무수당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근로자들이 휴일 근무나 잔업처리 등을 기피하는 현상이 늘고 있다.
① 임금의 하방경직성
② 후방굴절형 노동공급곡선
③ 노동의 이력 현상(hysteresis)
④ 임금의 화폐적 현상
[ 2020.08.22.(3회)]
73. 만일 여가가 열등재라면 개인의 노동공급곡선의 형태는?
① 후방굴절한다 ② 완전 비탄력적이다.
③ 완전탄력적이다 ④ 우상향한다.
[2020.06.06.(1, 2회차 통합)]
74. 다음은 후방굴절형의 노동공급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노동공급곡선상의 a, b구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소득효과 = 0
② 대체효과 = 0
③ 소득효과 < 대체효과
④ 소득효과 > 대체효과
[2020.06.06.(1, 2회차 통합)]
71. 연장근로 등 일정량 이상의 노동을 기피하는 풍조가 확산된다면, 이 현상에 대한 분석도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최저임금제
② 후방굴절형 노동공급곡선
③ 화폐적 환상
④ 노동의 수요독점
노동공급의 탄력성 값이 0인 경우 노동공급곡선의 형태는 수직이다.
67. 노동공급의 탄력성 값이 0인 경우 노동공급곡선의 형태는?
① 수평이다 ② 수직이다
③ 우상향이다 ④ 후방굴절형이다.
[2019.03.03.(1회)]
74. 임금상승에 따라 노동공급곡선이 후방굴절(상단부분에서 좌상향으로 굽어짐)을 보이는 이유는?
① 임금상승 시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보다 크기 때문이다.
② 임금상승 시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크기 때문이다.
③ 임금상승 시 소득효과와 대체효과가 같아지기 때문이다.
④ 임금상승 시 노동자들이 일을 더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2018.08.19.(3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시기출) 노동공급 (0) | 2021.04.28 |
---|---|
(노법기출) 대한민국헌법 (0) | 2021.04.28 |
(직정기출) 한국직업사전_직무기능 (0) | 2021.04.28 |
(노시기출) 노동조합 (0) | 2021.04.28 |
(직정기출) 국가기술자격 (0) | 2021.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