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_63. 노동조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노조부문과 비노조부문 간의 임금격차를 해소시킨다.
② 집단적 소리로서의 기능을 하여 비효율을 제거하고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③ 시장기능에 의해 결정된 임금수준을 반드시 수용한다.
④ 노동조합의 임금수준은 일반적으로 비노조부문의 임금수준에 비해 낮게 책정되어 있다.
B_77. 노동조합으로 인해 비노조부의 임금이 하락하고 있다면 이는 어떤 경우인가?
① 이전 효과(spillover effect)만 나타나는 경우
② 위협 효과(threat effect)만 나타나는 경우
③ 대기실업효과만 나타나는 경우
④ 비노동조합 부문에서 노동수요곡선을 좌측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
71. 노동조합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임금을 인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②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③ 각종 공제활동 및 복지활동을 할 수 있다.
④ 특정 정당과 연계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다.
77. 다음 중 노동조합의 조직률을 하락시키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외국인 근로자 비율의 증가
②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한 수입관세 인상
③ 서비스업으로의 산업구조 변화
④ 노동자의 기호와 가치관의 변화
69. 신고전학파가 주장하는 노동조합의 사회적 비용의 증가 요인이 아닌 것은?
① 비노조와의 임금격차와 고용저하에 따른 비효율 배분
② 경직적 인사제도에 의한 기술적 비효율
③ 파업으로 인한 생산중단에 따른 생산적 비효율
④ 작업 방해에 의한 구조적 비효율
70. 노동조합이 노동공급을 제한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로 옳은 것은?
① 노동조합이 조직화된 노동시장의 임금이 하락할 것이다.
② 노동조합이 조직화되지 않은 노동시장의 공급곡선이 좌상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③ 노동조합이 조직화된 노동시장의 노동수요곡선이 우상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④ 노동조합이 조직화되지 않은 노동시장의 임금이 하락할 것이다.
65. 노동조합의 임금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노동조합 조직부문과 비조직 부문간의 임금격차는 불경기시에 감소한다.
② 노동조합 조직 부문에서 해고된 근로자들이 비조직 부문에 몰려 비조직 부문의 임금을 떨어뜨릴 수 있다.
③ 노동조합이 조직될 것을 우려하여 비조직 부문 기업이 이전보다 임금을 더 많이 인상시킬 수 있다.
④ 노조조직 부문에 입사하기 위해 비조직 부문 근로자들이 사직하는 경우가 많아 비조직 부문의 임금이 상승할 수 있다.
72. 노동조합 조직부문과 비조직 부문간의 임금격차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비르게 짝지은 것은?
ㄱ. 이전 효과(spillover effect)
ㄴ. 위협효과(threat effect)
ㄷ. 대기실업효과(wait unemployment effect)
ㄹ. 해고효과(displacement effect)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ㄹ
77. 노동조합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조합의 형태는?
① 산업별 노동조합(industrial union)
② 기업별 노동조합(company union)
③ 직업별 노동조합(craft union)
④ 일반 노동조합 (general union)
68. 다음 중 임금교섭 이전 노동조합의 전략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ㄱ. 재고의 비축
ㄴ. 파업투표(strike votes)
ㄷ. 파업기금의 비축
ㄹ. 생산공장의 이전(협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곳으로)
ㅁ. 임금 이외의 수입원 확보
① ㄱ, ㄴ, ㄹ ② ㄱ, ㄷ, ㅁ
③ ㄴ, ㄷ, ㄹ ④ ㄴ, ㄷ, ㅁ
정답
노동조합의 기능
① 임금을 인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②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③ 각종 공제활동 및 복지활동을 할 수 있다.
④ 집단적 소리로서의 기능을 하여 비효율을 제거하고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B_63. 노동조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노조부문과 비노조부문 간의 임금격차를 해소시킨다.
② 집단적 소리로서의 기능을 하여 비효율을 제거하고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③ 시장기능에 의해 결정된 임금수준을 반드시 수용한다.
④ 노동조합의 임금수준은 일반적으로 비노조부문의 임금수준에 비해 낮게 책정되어 있다.
[2021.05.15.(2회)]
B_77. 노동조합으로 인해 비노조부의 임금이 하락하고 있다면 이는 어떤 경우인가?
① 이전 효과(spillover effect)만 나타나는 경우
② 위협 효과(threat effect)만 나타나는 경우
③ 대기실업효과만 나타나는 경우
④ 비노동조합 부문에서 노동수요곡선을 좌측으로 이동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
[2021.05.15.(2회)]
71. 노동조합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임금을 인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②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③ 각종 공제활동 및 복지활동을 할 수 있다.
④ 특정 정당과 연계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다.
[ 2021.03.07.(1회) ]
노동조합의 조직률을 하락시키는 요인
① 외국인 근로자 비율의 증가
② 서비스업으로의 산업구조 변화
③ 노동자의 기호와 가치관의 변화
77. 다음 중 노동조합의 조직률을 하락시키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외국인 근로자 비율의 증가
②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한 수입관세 인상
③ 서비스업으로의 산업구조 변화
④ 노동자의 기호와 가치관의 변화
[ 2020.08.22.(3회)]
신고전학파가 주장하는 노동조합의 사회적 비용의 증가 요인
① 비노조와의 임금격차와 고용저하에 따른 비효율 배분
② 경직적 인사제도에 의한 기술적 비효율
③ 파업으로 인한 생산중단에 따른 생산적 비효율
69. 신고전학파가 주장하는 노동조합의 사회적 비용의 증가 요인이 아닌 것은?
① 비노조와의 임금격차와 고용저하에 따른 비효율 배분
② 경직적 인사제도에 의한 기술적 비효율
③ 파업으로 인한 생산중단에 따른 생산적 비효율
④ 작업 방해에 의한 구조적 비효율 ☞ 생산적 비효율성
[2020.06.06.(1, 2회차 통합)]
노동조합이 노동공급을 제한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노동조합이 조직화되지 않은 노동시장의 임금이 하락할 것이다.
70. 노동조합이 노동공급을 제한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로 옳은 것은?
① 노동조합이 조직화된 노동시장의 임금이 하락할 것이다.
② 노동조합이 조직화되지 않은 노동시장의 공급곡선이 좌상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③ 노동조합이 조직화된 노동시장의 노동수요곡선이 우상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④ 노동조합이 조직화되지 않은 노동시장의 임금이 하락할 것이다.
[2020.06.06.(1, 2회차 통합)]
노동조합의 임금효과
① 노동조합 조직 부문에서 해고된 근로자들이 비조직 부문에 몰려 비조직 부문의 임금을 떨어뜨릴 수 있다.
② 노동조합이 조직될 것을 우려하여 비조직 부문 기업이 이전보다 임금을 더 많이 인상시킬 수 있다.
③ 노조조직 부문에 입사하기 위해 비조직 부문 근로자들이 사직하는 경우가 많아 비조직 부문의 임금이 상승할 수 있다.
65. 노동조합의 임금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노동조합 조직부문과 비조직 부문간의 임금격차는 불경기시에 감소한다.
② 노동조합 조직 부문에서 해고된 근로자들이 비조직 부문에 몰려 비조직 부문의 임금을 떨어뜨릴 수 있다.
③ 노동조합이 조직될 것을 우려하여 비조직 부문 기업이 이전보다 임금을 더 많이 인상시킬 수 있다.
④ 노조조직 부문에 입사하기 위해 비조직 부문 근로자들이 사직하는 경우가 많아 비조직 부문의 임금이 상승할 수 있다.
[2019.08.04.(3회)]
시드니와 베아트리스 웹(Sidney and Beatrice Webb)
노동조합이란 임금근로자들이 그들의 근로조건을 유지하고 개선할 목적으로 조직한 영속적 단체이며, 그와 같은 목적을 실현 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노동시장의 조절, 표준근로조건의 설정 및 유지와 공제제도 등이 있다.
프리먼과 메도프(Freeman and Medoff)
노동조합의 두 얼굴 - 독점과 집단적 목소리
노동조합 조직부문과 비조직 부문간의 임금격차를 축소시키는 효과
① 위협효과(threat effect)
② 대기실업효과(wait unemployment effect)
72. 노동조합 조직부문과 비조직 부문간의 임금격차를 축소시키는 효과를 비르게 짝지은 것은?
ㄱ. 이전 효과(spillover effect)
ㄴ. 위협효과(threat effect)
ㄷ. 대기실업효과(wait unemployment effect)
ㄹ. 해고효과(displacement effect)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ㄹ
[2019.04.27.(2회)]
직업별 노동조합(craft union)
노동조합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조합의 형태
77. 노동조합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조합의 형태는?
① 산업별 노동조합(industrial union)
② 기업별 노동조합(company union)
③ 직업별 노동조합(craft union)
④ 일반 노동조합 (general union)
[2019.04.27.(2회)]
임금교섭 이전 노동조합의 전략
① 파업투표(strike votes)
② 파업기금의 비축
③ 임금 이외의 수입원 확보
68. 다음 중 임금교섭 이전 노동조합의 전략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ㄱ. 재고의 비축
ㄴ. 파업투표(strike votes)
ㄷ. 파업기금의 비축
ㄹ. 생산공장의 이전(협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곳으로)
ㅁ. 임금 이외의 수입원 확보
① ㄱ, ㄴ, ㄹ ② ㄱ, ㄷ, ㅁ
③ ㄴ, ㄷ, ㄹ ④ ㄴ, ㄷ, ㅁ
[2019.03.03.(1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시기출)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0) | 2021.04.28 |
---|---|
(직정기출) 한국직업사전_직무기능 (0) | 2021.04.28 |
(직정기출) 국가기술자격 (0) | 2021.04.28 |
(직정기출) 민간직업정보 (0) | 2021.04.28 |
(직정기출) 직업정보의 수집 (0) | 2021.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