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자리/직업상담사시험

(노시기출) 한계생산물가치와 이윤극대화

by Gabeochi 2021. 4. 28.



B_
67. K회사는 4번째 직원을 채용할 때 모든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을 8천원에서 9천원으로 인상할 것이다. 만약 4번째 직원의 시간당 한계 수입 생산이 1만원이라면 K기업이 4번째 직원을 새로 고용함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시간당 이윤은?

① 1천원 증가

② 2천원 증가

③ 1천원 감소

④  2천원 감소


74.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어떤 커피숍 종업원의 임금은 시간당 6,000원이고, 커피 1잔의 가격은 3,000원일 때 이 종업원의 한계생산은? 

① 커피 1잔            ② 커피 2잔 

③ 커피 3잔            ④ 커피 4잔


1. 완전경쟁시장의 치킨매장에서 치킨 1마리를 14,000원에 팔고 있다. 그리고 종업원을 시간당 7,000원에 고용하고 있다. 이 매장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노동의 한계생산이 무엇과 같아질 때까지 고용을 늘려야 하는가? 

① 시간당 치킨 1/2마리

② 시간당 치킨 1마리 

③ 시간당 치킨 2마리 

④ 시간당 치킨4마리 


63. 우리나라에 10개의 야구공 생산업체가 있다. 야구공은 개당 1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각 기업의 야구공 생산함수와 노동의 한계 생산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 야구공을 만드는 기술을 가진 근로자가 500명 있으며, 이들의 노동공급이 완전 비탄력적이고 야구공의 가격은 일정하다고 할 때, 균형임금수준은 얼마인가?

Q = 600L-3L², MPL = 600 - 6

(단, Q는 야구공 생산량, L은 근로자의 수, MPL 은 노동의 한계 생산이다.)

① 100000원            ② 200000원    

③ 300000원             ④ 400000원


63. 완전경쟁하에서 노동의 수요곡선을 우하향하게 하는 주된 요인은 무엇인가? 

① 노동의 한계생산력    ② 노동의 가격  

③ 생산물의 가격          ④ 한계비용 


69. 다음은 근로자의 노동투입량, 시간당 임금 및 노동의 한계수입생산을 나타낸 것이다. 기업이 노동투입량을 5,000시간에서 6,000시간으로 증가시킬 때 노동의 한계비용은?

노동투입량(시간)              시간당 임금(원)              한계수입생산(원)
       3,000                                4,000                                20,000 
       4,000                                5,000                                18,000  
       5,000                                6,000                                17,000  
       6,000                                7,000                                15,000  
       7,000                                8,000                                14,000  
       8,000                                9,000                                12,000  
       9,000                             10,000                                11,000  

① 42,000원    ②  12,000원

③ 6,000원      ④ 2800원


64. 노동자 7명의 평균생산량이 20단위일 때, 노동자를 추가로 1명 더 고용하여 평균생산량이 18단위로 감소하였다면, 이때 추가로 고용된 노동자의 한계생산량은?

① 4단위          ② 5단위 

③ 6단위          ④ 7단위 


      정답                                                         


한계생산물(限界生産物), marginal product, MP

생산 요소가 한 단위 증가할 때 더 늘어나는 생산물.

가격(價格), price, P

완전 경쟁시장(完全競爭市場), perfect competition market 

어느 공급자와 수요자도 단독으로는 공급 및 구매량의 조절을 통해 시장가격에 영향을 줄 수 없을 정도로 시장에  같은 생산물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많아, 가격의 파라미터 기능이 완전히 작용하는 시장 상태로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이론 가설

한계생산물가치(限界生産物價値), value of marginal product, VMP

한계생산물×시장 가격. 한 생산 요소를 한 단위 더 투입할 때 늘어나는 생산량을 시장에 팔 때 받을 수 있는 금액.

임금(률)   = 한계생산물가치 = 한계생산물(MPs)×상품의 가격(P)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은 한계생산물가치와 임금률이 같아지는 수준까지 고용을 증대시키려 하기 때문에 한계생산물가치곡선이 곧 노동의 수요곡선이 된다.


한계생산물가치곡선은 한계생산력균등의 법칙에 따라 우하향하기 때문에 한계생산물가치곡선인 노동의 수요곡선도 우하향한다.

노동수요곡선



한계생산력체감의 법칙(限界生産力遞減의 法則)

자본을 고정한 채 노동만을 증가시키면 생산량이 어느 단계까지는 늘어나지만 어느  한계에 이르면 생산량이 감소하는 법칙


한계생산력균등의 법칙(限界生産力均等의 法則) : law of equimarginal productivity

= 대체의 법칙(代替의 法則) :  law of substitution

= 비례의 원칙((比例의 原則) : principles of proportionality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한 상태에서는 어떤 재화를 생산할 때 추가적인 각 생산요소의 투입량당 생산량이 같아야 한다는 의미

이윤극대화조건

가격=한계수입=한계비용 ( P=MR=AR)


B_67. K회사는 4번째 직원을 채용할 때 모든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을 8천원에서 9천원으로 인상할 것이다. 만약 4번째 직원의 시간당 한계 수입 생산이 1만원이라면 K기업이 4번째 직원을 새로 고용함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시간당 이윤은?

① 1천원 증가

② 2천원 증가

③ 1천원 감소

④  2천원 감소

[2021.05.15.(2회)]


3명 ×8,000원 = 24,000원

4명 ×9,000원 = 36,000원

한계비용    =  노동비용의 증가분 ÷ 노동투입량의 증가분

                  = (36,000원 - 24,000원) ÷(4명-3명)

                  = 12,000원

한계 수입 생산은 10,000원, 한계비용은 12,000원 

 이윤 2천원 감소


74.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어떤 커피숍 종업원의 임금은 시간당 6,000원이고, 커피 1잔의 가격은 3,000원일 때 이 종업원의 한계생산은? 

① 커피 1잔            ② 커피 2잔 

③ 커피 3잔            ④ 커피 4잔

2021.03.07.(1회) ]

※ 한계생산물가치 = 한계생산물×가격

                                = 한계생산물× 3,000 = 6,000

                                   한계생산물 = 2잔


 1. 완전경쟁시장의 치킨매장에서 치킨 1마리를 14,000원에 팔고 있다. 그리고 종업원을 시간당 7,000원에 고용하고 있다. 이 매장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노동의 한계생산이 무엇과 같아질 때까지 고용을 늘려야 하는가? 

① 시간당 치킨 1/2마리

② 시간당 치킨 1마리 

③ 시간당 치킨 2마리 

④ 시간당 치킨4마리 

2020.09.26.(4회) ]

임금(률)    =  한계생산물가치

※ 한계생산물가치 = 한계생산물 ×가격

          7000   = ?  × 14,000

? =       7000         =    1  
          14,000              2


63. 우리나라에 10개의 야구공 생산업체가 있다. 야구공은 개당 1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각 기업의 야구공 생산함수와 노동의 한계 생산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 야구공을 만드는 기술을 가진 근로자가 500명 있으며, 이들의 노동공급이 완전 비탄력적이고 야구공의 가격은 일정하다고 할 때, 균형임금수준은 얼마인가?

Q = 600L-3L², MPL = 600 - 6

(단, Q는 야구공 생산량, L은 근로자의 수, MPL 은 노동의 한계 생산이다.)

① 100000원            ② 200000원    

③ 300000원             ④ 400000원

2020.08.22.(3회)]


임금률(W) = 한계생산가치(VMPL)

                  = 노동의 한계생산(MPL) × 산출물의 시장가격(P)

         VMPL = (600 - 6L) ×1,000  ☞ (10개의 생산업체에 근로자가 500이므로 L은 50)

                     = 300 ×1,000

                    = 300 ,000


노동의 한계생산(MPL: marginal product of labor)

재화의 생산에 노동 한 단위가 더 투입되었을 때 추가적으로 늘어나는 생산량. 

MPL = ∆𝑄/∆𝐿   (L=Labor, Q=Quantity)  


노동의 한계생산가치(VMPL: value of MPL)

노동을 한 단위 더 투입하였을 때 추가적으로 늘어나는 생산량의 시장 가치.

노동의 한계생산물(MPL)에 산출물의 시장가격(P)을 곱한 금액. 

VMPL = MPL × P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은 VMPL=W이 만족되는 수준의 노동을
고용한다.

VMPL곡선이 노동수요곡선이다.

임금률(W) < 한계생산가치(VMPL) ☞ 고용량 증대

임금률(W) > 한계생산가치(VMPL) ☞ 고용량 감소


71. 생산물시장과 노동시장이 완전경쟁일 때 노동의 한계생산량이 10개이고, 생산물 가격이 500원이며 시간당 임금이 4000원이라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업의 반응으로 옳은 것은?

① 임금을 올린다. 

② 노동을 자본으로 대체한다.

③ 노동의 고용량을 증대시킨다. 

④ 고용량을 줄이고 생산을 감축한다.

[2020.06.06.(1, 2회차 통합)]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은 W = VMPL이 만족되는 수준의 노동을
고용한다.

임금률(W) = 한계생산가치(VMPL)

                  = 노동의 한계생산(MPL) × 산출물의 시장가격(P)

4,000(W)  < 10(MPL)×500(P) = 5,000(VMPL)

임금률(W) < 한계생산가치(VMPL) ☞ 고용량 증대

임금률(W) > 한계생산가치(VMPL) ☞ 고용량 감소


노동의 한계생산력   

완전경쟁하에서 노동의 수요곡선을 우하향하게 하는 주된 요인

63. 완전경쟁하에서 노동의 수요곡선을 우하향하게 하는 주된 요인은 무엇인가? 

① 노동의 한계생산력    ② 노동의 가격  

③ 생산물의 가격          ④ 한계비용 

[2019.03.03.(1회)]


69. 다음은 근로자의 노동투입량, 시간당 임금 및 노동의 한계수입생산을 나타낸 것이다. 기업이 노동투입량을 5,000시간에서 6,000시간으로 증가시킬 때 노동의 한계비용은?

노동투입량(시간)              시간당 임금(원)              한계수입생산(원)
       3,000                                4,000                                20,000 
       4,000                                5,000                                18,000  
       5,000                                6,000                                17,000  
       6,000                                7,000                                15,000  
       7,000                                8,000                                14,000  
       8,000                                9,000                                12,000  
       9,000                             10,000                                11,000  

① 42,000원    ②  12,000원

③ 6,000원      ④ 2800원

[2019.03.03.(1회)]


노동의 한계 비용(勞動의限界費用)

기업이 노동을 한 단위 추가로 투입할 때 드는 총노동비용의 증가분을나타낸다.


 노동의 한계비용 = 총노동비용의 증가분 ÷ 노동투입량의 증가분

총노동비용의 증가분  =  (6,000시간 × 7,000원) - (5,000시간 × 6,000원)
                                    = 12,000,000원

노동투입량의 증가분  6,000단위 - 5,000단위
                                    =  1,000단위 

노동의 한계비용 = 12,000,000원 ÷ 1,000단위 

                             = 12,000원



64. 노동자 7명의 평균생산량이 20단위일 때, 노동자를 추가로 1명 더 고용하여 평균생산량이 18단위로 감소하였다면, 이때 추가로 고용된 노동자의 한계생산량은?

 4단위          ② 5단위 

③ 6단위          ④ 7단위 

[2018.08.19.(3회)]

노동의 평균생산량 = (총생산량)÷(노동투입량)

노동자 7명의 총생산량 = 20×7 = 140

노동자 8명의 총생산량 = 18×8 = 144

노동의 한계생산량 =    (총생산량의 증가분)  
                                     (노동투입량의 증가분)

                               =   (144-140)    =  4(단위)
                                        (8-7)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저작권 안내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시기출) 파업  (0) 2021.04.28
(노시기출) 노동시장  (0) 2021.04.28
(노시기출) 고용률  (0) 2021.04.28
(노시기출) 노동공급  (0) 2021.04.28
(노법기출) 대한민국헌법  (0) 202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