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자리/직업상담사시험

(노시기출) 파업

by Gabeochi 2021. 4. 28.

68. 파업의 경제적 비용과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사적 비용과 사회적 비용은 동일하다. 

② 사용자의 사적비용은 직접적인 생산중단에서 오는 이윤의 순감소분과 같다. 

③ 사적비용이란 경제의 한 부문에서 발생한 파업으로 인한 타 부문에서의 생산 및 소비의 감소를 의미한다. 

④ 서비스 산업부문은 파업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분야이다.


66. 파업의 경제적 손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노동조합 측 노동소득의 순상실분은 해당기업에서의 임금소득의 상실보다 훨씬 적을 수 있다.  

② 사용자 이윤의 순감소분은 직접적인 생산중단에서 오는 것보다 항상 더 크다.  

③ 파업에 따르는 사회적 비용은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에서 더 큰 것이 보통이다.  

④ 파업에 따르는 생산량감소는 타산업의 생산량증가로 보충하기도 한다.


78. 파업을 설명하는 힉스(J. R. Hicks)의 단체교섭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노사 양측의 대칭적 정보 때문에 파업이 일어나지 않고 적정수준에서 임금타결이 이루어진다. 

② 노동조합의 요구임금과 사용자측의 제의 임금은 파업기간의 함수이다. 

③ 사용자의 양보곡선 (concession curve)은 우상향한다. 

④ 노동조합의 저항곡선 (resistance curve)은 우하향한다.


65. 파업이론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ㄱ.  힉스의 파업이론에 의하면, 사용자의 양보곡선과 노조의 저항곡선이 만나는 곳에서 파업기간이 결정된다. 

ㄴ. 카터 -챔벌린 모형에 따르면, 노조의 요구를 거부할 때 발생하는 사용자의 비용이 노조의 요구를 수락했을 때 발생하는 사용자의 비용보다 클 때 노조의 교섭력이 커진다. 

ㄷ. 매브리 이론에 따르면, 노조의 최종수락조건이 사용자의 최종수락조건보다 작을 때 파업이 발생한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ㄱ, ㄷ     ④ ㄱ, ㄴ, ㄷ 




      정답                                                         


파업의 경제적 비용과 기능

서비스 산업부문은 파업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분야이다.


68. 파업의 경제적 비용과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사적 비용과 사회적 비용은 동일하다. 

② 사용자의 사적비용은 직접적인 생산중단에서 오는 이윤의 순감소분과 같다. 

③ 사적비용이란 경제의 한 부문에서 발생한 파업으로 인한 타 부문에서의 생산 및 소비의 감소를 의미한다. 

서비스 산업부문은 파업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분야이다.

2021.03.07.(1회) ]


파업의 경제적 손실

① 노동조합 측 노동소득의 순상실분은 해당기업에서의 임금소득의 상실보다 훨씬 적을 수 있다.  

파업에 따르는 사회적 비용은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에서 더 큰 것이 보통이다.  

파업에 따르는 생산량감소는 타산업의 생산량증가로 보충하기도 한다.


66. 파업의 경제적 손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노동조합 측 노동소득의 순상실분은 해당기업에서의 임금소득의 상실보다 훨씬 적을 수 있다.  

② 사용자 이윤의 순감소분은 직접적인 생산중단에서 오는 것보다 항상 더 크다.  

③ 파업에 따르는 사회적 비용은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에서 더 큰 것이 보통이다.  

④ 파업에 따르는 생산량감소는 타산업의 생산량증가로 보충하기도 한다.

[ 2020.09.26.(4회) ]


파업을 설명하는 힉스(J. R. Hicks)의 단체교섭 모형

노동조합의 요구임금과 사용자측의 제의 임금은 파업기간의 함수이다. 

사용자의 양보곡선 (concession curve)은 우상향한다.

③  노동조합의 저항곡선 (resistance curve)은 우하향한다.


78. 파업을 설명하는 힉스(J. R. Hicks)의 단체교섭 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노사 양측의 대칭적 정보 때문에 파업이 일어나지 않고 적정수준에서 임금타결이 이루어진다. 

② 노동조합의 요구임금과 사용자측의 제의 임금은 파업기간의 함수이다. 

③ 사용자의 양보곡선 (concession curve)은 우상향한다. 

④ 노동조합의 저항곡선 (resistance curve)은 우하향한다.

[ 2020.08.22.(3회)]


파업이론(罷業理論)

힉스의 파업이론에 의하면, 사용자의 양보곡선과 노조의 저항곡선이 만나는 곳에서 파업기간이 결정된다. 

카터 -챔벌린 모형에 따르면, 노조의 요구를 거부할 때 발생하는 사용자의 비용이 노조의 요구를 수락했을 때 발생하는 사용자의 비용보다 클 때 노조의 교섭력이 커진다. 


65. 파업이론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ㄱ.  힉스의 파업이론에 의하면, 사용자의 양보곡선과 노조의 저항곡선이 만나는 곳에서 파업기간이 결정된다. 

ㄴ. 카터 -챔벌린 모형에 따르면, 노조의 요구를 거부할 때 발생하는 사용자의 비용이 노조의 요구를 수락했을 때 발생하는 사용자의 비용보다 클 때 노조의 교섭력이 커진다. 

ㄷ. 매브리 이론에 따르면, 노조의 최종수락조건이 사용자의 최종수락조건보다 작을 때 파업이 발생한다.

 ㄱ, ㄴ     ② ㄴ, ㄷ 

③ ㄱ, ㄷ     ④ ㄱ, ㄴ, ㄷ 

[2019.03.03.(1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저작권 안내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시기출) 기업  (0) 2021.04.28
(노시기출) 경기적 실업  (0) 2021.04.28
(노시기출) 노동시장  (0) 2021.04.28
(노시기출) 한계생산물가치와 이윤극대화  (0) 2021.04.28
(노시기출) 고용률  (0) 202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