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 다음 중 노동법의 성격에 가장 적합한 원칙은?
① 계약자유의 원칙
② 자기책임의 원칙
③ 소유권 절대의 원칙
④ 당사자의 실질적 대등의 원칙
[2019.04.27.(2회)]
정답
노동법(勞動法) : labor law
노동자의 권익 보호 및 보장과 근로관계에 관한 법규의 전체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단일 노동법은 존재하지 않고, 여러가지 법안에 노동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보통 이를 총 망라하여 노동법이라 부른다.
예)
근로기준법(勤勞基準法):
근로자의 기본적 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임금, 근로시간, 해고제한 등 근로조건의 최저기준을 정한 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産業災害補償保險法) :
업무상 재해에 대해 근로자에게 보험 급여를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보상기준을 정한 법
고용보험법(雇傭保險法) :
근로자가 실직했을 경우, 근로자의 고용안정과 실업급여 실시 등을 내용으로 하는 법
최저임금법(最低賃金法) :
저임금 근로자의 보호를 위하여 국가가 최저임금의 기준과 결정을 정한 법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勞動組合및勞動關係調整) :
노동자와 사용자 간의 근로조건이나 근로자의 권익, 노동조합과 노동쟁의조정 등에 관한 제규정을 정한 법령
당사자의 실질적 대등의 원칙
노동법의 성격에 가장 적합한 원칙
86. 다음 중 노동법의 성격에 가장 적합한 원칙은?
① 계약자유의 원칙
② 자기책임의 원칙
③ 소유권 절대의 원칙
④ 당사자의 실질적 대등의 원칙
[2019.04.27.(2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법기출) 겸업 금지 (0) | 2021.05.06 |
---|---|
(노법기출) 근로자공급사업 (0) | 2021.05.06 |
(노법기출) 대량 고용변동의 신고기준 등 (0) | 2021.05.06 |
(노법기출) 실업대책사업 (0) | 2021.05.06 |
(노법기출) 훈련계약과 권리ㆍ의무 (0) | 2021.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