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_28. 심리검사를 선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검사는 진행 중인 상담과정의 한 구성요소로만 보아야 한다.
② 검사는 내담자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정보를 얻는 하나의 도구이다.
③ 검사는 내담자와 함께 협조해서 선택하 것이 좋다.
④ 검사의 결과는 가능한 한 내담자에게 제공해서는 안된다.
40. 심리검사의 유형 중 객관적 검사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검사실시의 간편성
② 객관성의 증대
③ 반응의 풍부함
④ 높은 신뢰도
22. 심리검사의 유형과 그 예를 짝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직업흥미검사 - VPI
② 직업적성검사 - AGCT
③ 성격검사 - CPI
④ 직업가치 검사 - MIQ
39. 심리검사에서 규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한 집단의 특성을 가장 간편하게 표현하기 위한 개념으로 그 집단의 대표값을 말한다.
② 한 집단의 수치가 얼마나 동질적인지를 표현하기 위한 개념으로 점수들이 그 집단의 평균치로부터 벗어난 평균거리를 말한다.
③ 서로 다른 세계로 측정한 점수들을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하기 위한 개념으로 원점수에서 평균을 뺀 후 표준편차로 나눈 값을 말한다.
④ 원점수를 표준화된 집단의 검사점수와 비교하기 위한 개념으로 대표 집단의 검사점수 분포도를 작성하여 개인의 점수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34.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하는 심리검사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직업적성검사, 직업흥미검사 등 다양한 진로심리검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② 검사 결과를 즉시 알 수 있어 편리하다.
③ 상담 장면에서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④ 검사를 치르는 상황이 다양하므로 검사점수의 신뢰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38. 심리검사의 표준화를 통해 통제하고자 하는 변인이 아닌 것은?
① 검사자 변인 ② 피검자 변인
③ 채점자 변인 ④ 실시상황 변인
정답
심리검사(心理檢査) : psychological test
심리검사의 유형 중 객관적 검사의 장점
① 검사실시의 간편성
② 객관성의 증대
③ 높은 신뢰도
B_28. 심리검사를 선택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검사는 진행 중인 상담과정의 한 구성요소로만 보아야 한다.
② 검사는 내담자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정보를 얻는 하나의 도구이다.
③ 검사는 내담자와 함께 협조해서 선택하 것이 좋다.
④ 검사의 결과는 가능한 한 내담자에게 제공해서는 안된다.
[2021.05.15.(2회)]
40. 심리검사의 유형 중 객관적 검사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검사실시의 간편성
② 객관성의 증대
③ 반응의 풍부함
④ 높은 신뢰도
[ 2021.03.07.(1회) ]
심리검사의 유형
① 직업흥미검사(직업선호도 검사) - VPI,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② 직업적성검사 - VAT, Vocational Aptitude Test
일반적성검사 - GATB(General Aptitude Test Battery)
③ 성격검사(캘리포니아 성격검사) - CPI, 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
④ 직업가치 검사(미네소타중요도 검사) - MIQ, Minnesota Importance Questionnaire
* 군대 일반분류검사 - AGCT, Army General Classification test
22. 심리검사의 유형과 그 예를 짝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직업흥미검사 - VPI
② 직업적성검사 - AGCT
③ 성격검사 - CPI
④ 직업가치 검사 - MIQ
[2019.08.04.(3회)]
규준(規準): norm
원점수를 표준화된 집단의 검사점수와 비교하기 위한 개념으로 대표 집단의 검사점수 분포도를 작성하여 개인의 점수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39. 심리검사에서 규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한 집단의 특성을 가장 간편하게 표현하기 위한 개념으로 그 집단의 대표값을 말한다.
② 한 집단의 수치가 얼마나 동질적인지를 표현하기 위한 개념으로 점수들이 그 집단의 평균치로부터 벗어난 평균거리를 말한다.
③ 서로 다른 세계로 측정한 점수들을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하기 위한 개념으로 원점수에서 평균을 뺀 후 표준편차로 나눈 값을 말한다.
④ 원점수를 표준화된 집단의 검사점수와 비교하기 위한 개념으로 대표 집단의 검사점수 분포도를 작성하여 개인의 점수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2019.08.04.(3회)]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하는 심리검사
① 직업적성검사, 직업흥미검사 등 다양한 진로심리검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② 검사 결과를 즉시 알 수 있어 편리하다.
③ 검사를 치르는 상황이 다양하므로 검사점수의 신뢰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34.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실시하는 심리검사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직업적성검사, 직업흥미검사 등 다양한 진로심리검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② 검사 결과를 즉시 알 수 있어 편리하다.
③ 상담 장면에서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④ 검사를 치르는 상황이 다양하므로 검사점수의 신뢰도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2019.04.27.(2회)]
*변인(變因) : variable
대상이 되고 있는 있는 어떤 사물, 사건, 현상이 어떤 속성에 따라 여러 수준으로 분류하거나 다양한 값으로 측정할 수 있을 때의 속성.
심리검사의 표준화를 통해 통제하고자 하는 변인
① 검사자 변인
② 채점자 변인
③ 실시상황 변인
38. 심리검사의 표준화를 통해 통제하고자 하는 변인이 아닌 것은?
① 검사자 변인 ② 피검자 변인
③ 채점자 변인 ④ 실시상황 변인
[2019.03.03.(1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정기출) 한국표준직업분류 (0) | 2021.04.28 |
---|---|
(직정기출) 워크넷_청소년 (0) | 2021.04.28 |
(직심기출) 규준의 종류 (0) | 2021.04.28 |
(직심기출) 파슨스(Parsons) (0) | 2021.04.28 |
(직심기출) 직무분석 (0) | 2021.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