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_50. 한국표준직업분류(제7차)의 개정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전문 기술직의 직무영역 확장 등 지식정보화 사회 변화상 반영
② 사회 서비스 일자리 직종 세분 및 신설
③ 고용규모 대비 분류항목이 적은 사무 및 판매 · 서비스직 세분
④ 자동화·기계화 진전에 따른 기능직 및 기계 조작직 직종 세분 및 신설
B_58. 한국표준직업분류(제7차) 개정시 대분류 3 “사무 종사자"에 신설된 것은?
① 행정사
② 신용카드 모집인
③ 로봇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④ 문화 관광 및 숲 • 자연환경 해설사
42. 한국표준직업분류(제7차)에서 표준직업 분류와 직능수준과의 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
① 관리자 : 제4직능 수준 혹은 제3직능 수준 필요
②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 제4직능 수준 혹은 제3직능 수준 필요
③ 군인 : 제1직능 수준 이상 필요
④ 단순노무 종사자 : 제1직능 수준 필요
50. 한국표준직업분류(7차)에서 직업의 성립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사회복지시설 수용자의 시설 내 경제활동은 직업으로 보지 않는다.
② 이자나 주식배당으로 자산 수입이 있는 경우는 직업으로 본다.
③ 자기 집의 가사 활동도 직업으로 본다.
④ 속박된 상태에서의 제반활동이 경제성이나 계속성이 있으면 직업으로 본다.
59. 한국표준직업분류(2017)의 대분류 9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사무 종사자
② 단순노무 종사자
③ 서비스 종사자
④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51. 제7차 한국표준직업분류상 다음 개념에 해당하는 분류는?
-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때로는 육체적인 힘을 요하는 과업을 수행한다.
- 간단한 수작업 공구나 진공청소기, 전기장비들을 이용한다.
- 제1직능 수준의 일부 직업에서는 초등교육이나 기초적인 교육(ISCED 수준1)을 필요로 한다.
① 단순노무 종사자
② 장치 · 기계 조작 및 조립종사자
③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④ 판매 종사자
52. 제7차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직무능력수준 중 제2직능 수준이 요구되는 대분류는?
① 관리자
② 전문자 및 관련 종사자
③ 단순노무 종사자
④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50.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주요 개정(제7차) 방향 및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난 개정 이후 시간 경과를 고려하여 전면 개정 방식으로 추진하되, 중분류 이하 단위 분류 체계를 중심으로 개정을 추진하였다.
② 대형 재난 대응 및 예방의 사회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방재 기술자 및 연구원을 신설하였다.
③ 포괄적 직무로 분류되어 온 사무직의 대학 행정 조교, 증권 사무원, 기타 금융 사무원, 행정사, 중개 사무원을 신설하였다.
④ 제조 관련 기능 종사원, 과실 및 채소 가공 관련 기계 조작원, 섬유 제조 기계 조작원 등은 복합 다기능 기계의 발전에 따라 통합되었던 직종을 세분하였다.
52. 한국표준직업분류(2018)에서 직업으로 보지 않는 활동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이자, 주식배당 등과 같은 자산 수입이 있는 경우
ㄴ. 예적금 인출, 보험금 수취, 차용 또는 토지나 금융자산을 매각하여 수입이 있는 경우
ㄷ. 사회복지시설 수용자의 시설 내 경제 활동
ㄹ. 수형자의 활동과 같이 법률에 의한 강제 노동을 하는 경우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ㄷ, ㄹ
41.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대분류와 직능수준과의 관계로 틀린 것은?
① 관리자 - 제4직능 수준 혹은 제3직능 수준 필요.
② 사무 종사자 - 제2직능 수준 필요.
③ 판매 종사자 - 제2직능 수준 필요
④ 군인 - 제1직능 수준 필요
정답
표준직업 분류와 직능수준
한국표준직업분류 대분류항목 직능수준
1 관리자 제4직능 수준 혹은 제3직능 수준
2 전문가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제4직능 수준 혹은 제3직능 수준
3 사무 종사자 제2직능 수준
4 서비스 종사자 제2직능 수준
5 판매 종사자 제2직능 수준
6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제2직능 수준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제2직능 수준
8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제2직능 수준
9 단순노무 종사자 제1직능 수준
A 군인 제2직능 수준 이상
42. 한국표준직업분류(제7차)에서 표준직업 분류와 직능수준과의 관계가 옳지 않은 것은?
① 관리자 : 제4직능 수준 혹은 제3직능 수준 필요
②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 제4직능 수준 혹은 제3직능 수준 필요
③ 군인 : 제1직능 수준 이상 필요
④ 단순노무 종사자 : 제1직능 수준 필요
----------------------------------------------------------------
참조 : 한국표준직업분류
직업의 성립조건
다음과 같은 활동은 직업으로 보지 않는다.
(1) 이자, 주식배당, 임대료(전세금, 월세) 등과 같은 자산 수입이 있는 경우
(2) 연금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국민연금법 및 고용보험법 등의 사회보장이나
민간보험에 의한 수입이 있는 경우
(3) 경마, 경륜, 경정, 복권 등에 의한 배당금이나 주식투자에 의한 시세차익이
있는 경우
(4) 예 적금 인출, 보험금 수취, 차용 또는 토지나 금융자산을 매각하여 수입이 있는
경우
(5) 자기 집의 가사 활동에 전념하는 경우
(6) 교육기관에 재학하며 학습에만 전념하는 경우
(7) 시민봉사활동 등에 의한 무급 봉사적인 일에 종사하는 경우
(8) 사회복지시설 수용자의 시설 내 경제활동
(9) 수형자의 활동과 같이 법률에 의한 강제노동을 하는 경우
(10) 도박, 강도, 절도, 사기, 매춘, 밀수와 같은 불법적인 활동
*참고 : 한국표준직업분류 개요 (7차, 개정분류, 2018.1.1. 시행)
kssc.kostat.go.kr:8443/ksscNew_web/summary002_1.pdf
50. 한국표준직업분류(7차)에서 직업의 성립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사회복지시설 수용자의 시설 내 경제활동은 직업으로 보지 않는다.
② 이자나 주식배당으로 자산 수입이 있는 경우는 직업으로 본다. ☞ 보지 않는다.
③ 자기 집의 가사 활동도 직업으로 본다. ☞ 보지 않는다.
④ 속박된 상태에서의 제반활동이 경제성이나 계속성이 있으면 직업으로 본다. ☞ 보지 않는다.
[ 2020.09.26.(4회) ]
B_58. 한국표준직업분류(제7차) 개정시 대분류 3 “사무 종사자"에 신설된 것은?
① 행정사
② 신용카드 모집인
③ 로봇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④ 문화 관광 및 숲 • 자연환경 해설사
[2021.05.15.(2회)]
59. 한국표준직업분류(2017)의 대분류 9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사무 종사자
② 단순노무 종사자
③ 서비스 종사자
④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 2020.08.22.(3회) ]
단순노무 종사자
-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때로는 육체적인 힘을 요하는 과업을 수행한다.
- 간단한 수작업 공구나 진공청소기, 전기장비들을 이용한다.
- 제1직능 수준의 일부 직업에서는 초등교육이나 기초적인 교육(ISCED 수준1)을 필요로 한다.
51. 제7차 한국표준직업분류상 다음 개념에 해당하는 분류는?
-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때로는 육체적인 힘을 요하는 과업을 수행한다.
- 간단한 수작업 공구나 진공청소기, 전기장비들을 이용한다.
- 제1직능 수준의 일부 직업에서는 초등교육이나 기초적인 교육(ISCED 수준1)을 필요로 한다.
① 단순노무 종사자
② 장치 · 기계 조작 및 조립종사자
③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④ 판매 종사자
[2020.06.06.(1, 2회차 통합)]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제2직능 수준이 요구
52. 제7차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직무능력수준 중 제2직능 수준이 요구되는 대분류는?
① 관리자
② 전문자 및 관련 종사자
③ 단순노무 종사자
④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2020.06.06.(1, 2회차 통합)]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주요 개정(제7차) 방향 및 특징
① 지난 개정 이후 시간 경과를 고려하여 전면 개정 방식으로 추진하되, 중분류 이하 단위 분류 체계를 중심으로 개정을 추진하였다.
② 대형 재난 대응 및 예방의 사회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방재 기술자 및 연구원을 신설하였다.
③ 포괄적 직무로 분류되어 온 사무직의 대학 행정 조교, 증권 사무원, 기타 금융 사무원, 행정사, 중개 사무원을 신설하였다.
④ 제조 관련 기능 종사원, 과실 및 채소 가공 관련 기계 조작원, 섬유 제조 기계 조작원 등은 복합 ‧ 다기능 기계의 발전에 따라 세분화된 직종을 통합하였다.
B_50. 한국표준직업분류(제7차)의 개정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전문 기술직의 직무영역 확장 등 지식정보화 사회 변화상 반영
② 사회 서비스 일자리 직종 세분 및 신설
③ 고용규모 대비 분류항목이 적은 사무 및 판매 · 서비스직 세분
④ 자동화·기계화 진전에 따른 기능직 및 기계 조작직 직종 세분 및 신설
[2021.05.15.(2회)]
50. 한국표준직업분류의 주요 개정(제7차) 방향 및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난 개정 이후 시간 경과를 고려하여 전면 개정 방식으로 추진하되, 중분류 이하 단위 분류 체계를 중심으로 개정을 추진하였다.
② 대형 재난 대응 및 예방의 사회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방재 기술자 및 연구원을 신설하였다.
③ 포괄적 직무로 분류되어 온 사무직의 대학 행정 조교, 증권 사무원, 기타 금융 사무원, 행정사, 중개 사무원을 신설하였다.
④ 제조 관련 기능 종사원, 과실 및 채소 가공 관련 기계 조작원, 섬유 제조 기계 조작원 등은 복합 다기능 기계의 발전에 따라 통합되었던 직종을 세분하였다. ☞ 세분화된 직종을 통합하였다.
[2019.08.04.(3회)]
한국표준직업분류(2018)에서 직업으로 보지 않는 활동
① 이자, 주식배당 등과 같은 자산 수입이 있는 경우
② 예적금 인출, 보험금 수취, 차용 또는 토지나 금융자산을 매각하여 수입이 있는 경우
③ 사회복지시설 수용자의 시설 내 경제 활동
④ 수형자의 활동과 같이 법률에 의한 강제 노동을 하는 경우
52. 한국표준직업분류(2018)에서 직업으로 보지 않는 활동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이자, 주식배당 등과 같은 자산 수입이 있는 경우
ㄴ. 예적금 인출, 보험금 수취, 차용 또는 토지나 금융자산을 매각하여 수입이 있는 경우
ㄷ. 사회복지시설 수용자의 시설 내 경제 활동
ㄹ. 수형자의 활동과 같이 법률에 의한 강제 노동을 하는 경우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ㄱ, ㄴ, ㄷ ④ ㄱ, ㄴ, ㄷ, ㄹ
[2019.04.27.(2회)]
41.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 대분류와 직능수준과의 관계로 틀린 것은?
① 관리자 - 제4직능 수준 혹은 제3직능 수준 필요.
② 사무 종사자 - 제2직능 수준 필요.
③ 판매 종사자 - 제2직능 수준 필요
④ 군인 - 제1직능 수준 필요 ☞ 제1직능 수준 이상 필요
[2019.03.03.(1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정기출) 국민내일배움카드 (0) | 2021.04.28 |
---|---|
(직정기출) 직업훈련 (0) | 2021.04.28 |
(직정기출) 워크넷_청소년 (0) | 2021.04.28 |
(직심기출) 심리검사 (0) | 2021.04.28 |
(직심기출) 규준의 종류 (0) | 2021.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