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_24. 직무분석 자료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최신의 정보를 반영해야 한다.
② 논리적으로 체계화되어야 한다.
③ 진로상담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④ 가공하지 않은 원상태의 정보이어야 한다.
27. 직무분석을 통해 작성되는 결과물로서,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갖추어야 할 자격요건을 기록한 것은?
① 직무 기술서(job description)
② 직무 명세서 (job specification)
③ 직무 프로파일(job profile)
④ 직책 기술서(position description)
28. 작업자 중심의 직무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인적 요건들을 밝히는 직무기술서로 나타난다.
② 직무에서 수행하는 과제나 활동이 어떤 것들인지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둔다.
③ 어떠한 직무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직무분석 질문지를 제작해서 사용할 수 있다.
④ 지식, 기술, 능력, 경험 등 작업자 개인 요건들로 직무를 표현한다.
22. 직무에 대한 하위개념 중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작업 활동으로 직무분석의 가장 작은 단위가 되는 것은?
① 임무 ②과제 ③ 직위 ④ 직군
25. 직무분석 자료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직무분석 자료는 사실 그대로를 반영하여야 한다.
② 직무분석 자료는 가공하지 않은 원상태의 자료이어야 한다.
③ 직무분석 자료는 과거와 현재의 정보를 모두 활용해야 한다.
④ 직무분석 자료는 논리적으로 체계화해야 한다.
40. 다음 중 직무분석 결과의 활용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신규 작업자의 모집
② 종업원의 교육훈련
③ 인력수급계획 수립
④ 종업원의 사기조사
27. 다음 중 일반적인 직무분석의 3단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직업분석 (occupational analysis)
② 직무분석 (job analysis)
③ 직업수준분석 (job level analysis)
④ 작업 분석 (task analysis)
29. 직무분석을 실시할 때 분석할 대상직업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실시하는 최초분석법의 분석방법이 아닌 것은?
① 면담법 ② 체험법
③ 비교확인법 ④ 설문법
33. 직무분석 결과의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인사선발 ② 교육 및 훈련
③ 동료다면평가 ④ 직무평가
정답
직무분석(職務分析) : job analysis
직무에 포함되는 일의 성질이나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하여 종업원이 수행하는 업무에 대한 정보의 수집과 분석을 하는 일.
① 직무내용(목적 ·개요 ·방법 ·순서)
② 노동부담(노동의 강도 ·밀도),
③ 노동환경(온도 ·환기 ·분진 ·소음 ·습도 ·오염)
④ 위험재해(감전 ·폭발 ·화재 ·고소 ·재해율 ·직업병)
⑤ 직무조건(체력 ·지식 ·경험 ·자격 ·개성)
⑥ 결과책임(직무를 수행하지 않았을 경우의 인적 ·물적 손해의 정도)
⑦ 지도책임(후진자 지도의 책임)
⑧ 감독책임
⑨ 권한 등
일반적인 직무분석의 3단계
① 직업분석(職業分析) : occupational analysis
② 직무분석(職務分析) : job analysis
③ 작업 분석(作業分析) : ask analysis
작업자 중심의 직무분석
① 작업자 중심 직무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직무명세서로 나타낸다.
② 직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인간의 재능들에 초점을 둔다.
③ 어떠한 직무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직무분석 질문지를 제작해서 사용할 수 있다.
④ 지식, 기술, 능력, 경험 등 작업자 개인 요건들로 직무를 표현한다.
직무분석 자료의 특성
① 직무분석 자료는 사실 그대로를 반영하여야 한다.
② 직무분석 자료는 가공하지 않은 원상태의 자료이어야 한다.
③ 직무분석 자료는 논리적으로 체계화해야 한다
④ 직무분석 자료는 최신의 정보를 반영해야 한다.
직무분석 결과의 활용 용도
① 신규 작업자의 모집
② 종업원의 교육훈련
③ 인력수급계획 수립
④ 인사선발
⑤ 직무평가
과제
직무에 대한 하위개념 중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작업 활동으로 직무분석의 가장 작은 단위가 되는 것
B_24. 직무분석 자료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최신의 정보를 반영해야 한다.
② 논리적으로 체계화되어야 한다.
③ 진로상담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
④ 가공하지 않은 원상태의 정보이어야 한다.
[2021.05.15.(2회)]
27. 직무분석을 통해 작성되는 결과물로서,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갖추어야 할 자격요건을 기록한 것은?
① 직무 기술서(job description)
② 직무 명세서 (job specification)
③ 직무 프로파일(job profile)
④ 직책 기술서(position description)
[ 2021.03.07.(1회) ]
28. 작업자 중심의 직무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인적 요건들을 밝히는 직무기술서로 나타난다. ☞ 작업자 중심 직무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직무명세서로 나타낸다.
② 직무에서 수행하는 과제나 활동이 어떤 것들인지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둔다. ☞ 직무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인간의 재능들에 초점을 둔다.
③ 어떠한 직무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직무분석 질문지를 제작해서 사용할 수 있다.
④ 지식, 기술, 능력, 경험 등 작업자 개인 요건들로 직무를 표현한다.
[ 2020.08.22.(3회) ]
22. 직무에 대한 하위개념 중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작업 활동으로 직무분석의 가장 작은 단위가 되는 것은?
① 임무 ② 과제 ③ 직위 ④ 직군
[2020.06.06.(1, 2회차 통합)]
25. 직무분석 자료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직무분석 자료는 사실 그대로를 반영하여야 한다.
② 직무분석 자료는 가공하지 않은 원상태의 자료이어야 한다.
③ 직무분석 자료는 과거와 현재의 정보를 모두 활용해야 한다.
④ 직무분석 자료는 논리적으로 체계화해야 한다.
[2019.08.04.(3회)]
40. 다음 중 직무분석 결과의 활용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신규 작업자의 모집
② 종업원의 교육훈련
③ 인력수급계획 수립
④ 종업원의 사기조사
[2019.08.04.(3회)]
33. 직무분석 결과의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인사선발 ② 교육 및 훈련
③ 동료다면평가 ④ 직무평가
[2018.08.19.(3회)]
27. 다음 중 일반적인 직무분석의 3단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직업분석 (occupational analysis)
② 직무분석 (job analysis)
③ 직업수준분석 (job level analysis)
④ 작업 분석 (task analysis)
[2019.03.03.(1회)]
직무분석을 실시할 때 분석할 대상직업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실시하는 최초분석법의 분석방법
① 면담법
② 체험법
③ 설문법
29. 직무분석을 실시할 때 분석할 대상직업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실시하는 최초분석법의 분석방법이 아닌 것은?
① 면담법 ② 체험법
③ 비교확인법 ④ 설문법
[2019.03.03.(1회)]
33. 직무분석 결과의 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인사선발 ② 교육 및 훈련
③ 동료다면평가 ④ 직무평가
[2018.08.19.(3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심기출) 규준의 종류 (0) | 2021.04.28 |
---|---|
(직심기출) 파슨스(Parsons) (0) | 2021.04.28 |
(직심기출) 경력개발 프로그램 (0) | 2021.04.28 |
(직심기출) 홀랜드(Holland) (0) | 2021.04.28 |
(직심기출) 데이비스와 롭퀘스트(Davis & Lofquist) (0) | 2021.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