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자리/직업상담사시험

[직업심리학] 2020년 3회차 1차필기 기출문제

by Gabeochi 2021. 4. 30.

직업상담사 2급 1차 기출문제 2020.08.22.(3회)  

제2과목 : 직업심리학 


21. 직업상담에 사용되는 질적 측정도구가 아닌 것은?

① 역할놀이 ② 제노그램 ③ 카드분류 ④ 욕구 및 근로 가치 설문


22. 직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변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성격 유형    ② 역할 모호성      ③ 통제 소재    ④ 사회적 지원 


23.  검사 점수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수검자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수행 능력     

② 수행 경험  

③ 평가 불안  

④ 수검 당일의 생리적 조건


24.  어떤 직업적성검사의 신뢰도 계수가 1.0이면 그 검사의 타당도 계수는? 

① 1.0   ② 0   ③0.5   ④ 알 수 없다.


25. 직업발달에 관한 특성-요인이론의 종합적인 결과를 토대로 Klein과 Weiner 등이 내린 결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개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의 집합이다.  

② 직업의 선택은 직선적인 과정이며 연결이 가능하다.  

③ 개인의 직업선호는 부모의 양육환경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④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요구사항 간에 상관이 높을수록 직업적 성공의 가능성이 커진다. 


26. 직업흥미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직업흥미검사 결과는 변화하므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다시 실시하는 것이 좋다.  

② 정서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내담자에게 직업흥미검사를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③ 직업흥미검사는 진로분야에서 내담자가 만족할 수 있는 분야 뿐만 아니라 성공가능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해준다.  

④ 직업흥미검사 결과는 내담자의 능력, 가치, 고용가능성 등 내담사의 상황에 대한 다른 정보들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에 활용되어야 한다. 


27. 심리검사 해석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검사결과를 내담자에게 이야기해 줄 때 가능한 한 이해하기 쉽게 해주어야 한다.  

② 내담자에게 검사의 점수보다는 진점수의 범위를 말해주는 것이 좋다.  

③ 검사결과를 내담자와 함께 해석하는 것은 검사전문가로서 해서는 안되는 일이다.  

④ 내담자의 방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담자는 중립적이고 무비판적이어야 한다. 


28. 작업자 중심의 직무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인적 요건들을 밝히는 직무기술서로 나타난다.  

② 직무에서 수행하는 과제나 활동이 어떤 것들인지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둔다.  

③ 어떠한 직무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직무분석 질문지를 제작해서 사용할 수 있다.  

④ 지식, 기술, 능력, 경험 등 작업자 개인 요건들로 직무를 표현한다. 


29. 직업적응이론의 적응유형 변인 중 적응행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적응의 시작과 종료의 지속기간을 나타내는 것은? 

① 유연성     ② 능동성     ③ 수동성     ④ 인내


30. 사회학습이론에 기반한 진로발달 과정의 요인으로 다름 사례와 밀접하게 관련 있는 것은? 

신입사원 A는 직무 매뉴얼을 참고하여 업무수행을 한다. 그러나 이런 방법을 통해 신입사원 때는 좋은 결과를 얻더라도, 승진하여 새로운 업무를 수행할 때는 기존의 업무수행 방법을 수정해야 할지도 모른다. 

① 유전적 요인과 특별한 능력  

② 직무 적성  

③ 학습 경험  

④ 과제접근 기술 


31.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루하게 반복되는 과업의 단조로움은 매우 위험한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다.  

② 복잡한 과제는 정보 과부하를 일으켜 스트레스를 높인다.  

③ 공식적이고 구조적인 조직에서 주로 인간관계 변수 때문에 역할갈등이 발생한다.  

④ 역할모호성은 개인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32. 성격의 5요인(Big Fiv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정서적 안정성     ② 정확성     ③ 성실성     ④ 호감성 


33. 다음 사례에서 A에게 해당하는 홀랜드(Holland)의 직업성격 유형은? 

A는 분명하고 질서정연한 것을 좋아하며, 체계적으로 기계를 조작하는 활동을 좋아 한다. 성격은 솔직하고, 말이 적으며, 고집이 있는 편이고, 단순하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다. 

① 탐구적(I)      ② 사회적(S)  

③ 실제적(R)      ④ 관습적(C) 


34.  데이비스와 롭퀘스트(Davis &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에서 적응양식의 차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의존성 (dependence)  

② 적극성 (activerness)  

③ 반응성(reactiveness)  

④ 인내 (perseverance) 


35.  Super의 진로발달단계 중 결정화, 구체화, 실행 등과 같은 과업이 수행되는 단계는? 

① 성장기       ② 탐색기  

③ 확립기       ④ 유지기 


36.  로(Roe)의 욕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아동기에 형성된 욕구에 대한 반응으로 직업 선택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② 가정 분위기의 유형을 회피형, 정서 집중형, 통제형으로 구분하였다. 

③ 직업군을 8가지로 분류하였다. 

④. 매슬로우가 제시한 욕구의 단계를 기초로 해서 초기의 인생경험과 직업선택의 관계에 관한 가정을 발전시켰다.


37.  자신의 직무나 직무경험에 대한 평가로부터 비롯되는 유쾌하거나 정적인 감정 상태는? 

① 직무만족  ② 직업적응  ③ 작업 동기  ④ 직무몰입 


3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행동특성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ㄱ     - 점심을 먹으면서도 서류를 본다.  

        -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쉬면 견딜 수 없다.  

        - 주말이나 휴일에도 쉴 수가 없다.  

ㄴ    - 열심히 일을 했지만 성취감보다는 허탈감을 느낀다.  

       - 인생에 환멸을 느낀다.  

       - 불면증이 생긴다. 

① ㄱ: 일 중독증,            ㄴ: 소진  

② ㄱ: A형 성격,             ㄴ: B형 성격  

③ ㄱ: 내적 통제소재,     ㄴ: 외적 톰제소재  

④ ㄱ: 과다 과업지향성, ㄴ: 과다 인간관계지향성 


39. 가치중심적 진로접근모형의 명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개인이 우선권을 부여하는 가치들은 얼마 되지 않는다.  

② 가치는 환경 속에서 가치를 담은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학습된다.  

③ 생애만족은 중요한 모든 가치들을 만족시키는 생애역할들에 의존한다.  

④ 생애역할에서의 성공은 개인적 요인보다는 외적 요인들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40.  다음 중 조직에서 직원의 경력개발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사내 공모제  

② 후견인(mentoring) 프로그램  

③ 직무평가  

④ 직무순환 



      정답                                                         


21. 직업상담에 사용되는 질적 측정도구가 아닌 것은?

① 역할놀이 ② 제노그램 ③ 카드분류 ④ 욕구 및 근로 가치 설문


22. 직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변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성격 유형    ② 역할 모호성      ③ 통제 소재    ④ 사회적 지원 


23.  검사 점수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수검자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수행 능력     

② 수행 경험  

③ 평가 불안  

④ 수검 당일의 생리적 조건


24.  어떤 직업적성검사의 신뢰도 계수가 1.0이면 그 검사의 타당도 계수는? 

① 1.0   ② 0   ③0.5   ④ 알 수 없다.


25. 직업발달에 관한 특성-요인이론의 종합적인 결과를 토대로 Klein과 Weiner 등이 내린 결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개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의 집합이다.  

② 직업의 선택은 직선적인 과정이며 연결이 가능하다.  

③ 개인의 직업선호는 부모의 양육환경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④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요구사항 간에 상관이 높을수록 직업적 성공의 가능성이 커진다. 


26. 직업흥미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직업흥미검사 결과는 변화하므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다시 실시하는 것이 좋다.  

② 정서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내담자에게 직업흥미검사를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③ 직업흥미검사는 진로분야에서 내담자가 만족할 수 있는 분야 뿐만 아니라 성공가능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해준다.  

④ 직업흥미검사 결과는 내담자의 능력, 가치, 고용가능성 등 내담사의 상황에 대한 다른 정보들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에 활용되어야 한다. 


27. 심리검사 해석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검사결과를 내담자에게 이야기해 줄 때 가능한 한 이해하기 쉽게 해주어야 한다.  

② 내담자에게 검사의 점수보다는 진점수의 범위를 말해주는 것이 좋다.  

③ 검사결과를 내담자와 함께 해석하는 것은 검사전문가로서 해서는 안되는 일이다.  

④ 내담자의 방어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담자는 중립적이고 무비판적이어야 한다. 


28. 작업자 중심의 직무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인적 요건들을 밝히는 직무기술서로 나타난다.  

② 직무에서 수행하는 과제나 활동이 어떤 것들인지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둔다.  

③ 어떠한 직무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직무분석 질문지를 제작해서 사용할 수 있다.  

④ 지식, 기술, 능력, 경험 등 작업자 개인 요건들로 직무를 표현한다. 


29. 직업적응이론의 적응유형 변인 중 적응행동과정에서 나타나는 적응의 시작과 종료의 지속기간을 나타내는 것은? 

① 유연성     ② 능동성     ③ 수동성     ④ 인내


30. 사회학습이론에 기반한 진로발달 과정의 요인으로 다름 사례와 밀접하게 관련 있는 것은? 

신입사원 A는 직무 매뉴얼을 참고하여 업무수행을 한다. 그러나 이런 방법을 통해 신입사원 때는 좋은 결과를 얻더라도, 승진하여 새로운 업무를 수행할 때는 기존의 업무수행 방법을 수정해야 할지도 모른다. 

① 유전적 요인과 특별한 능력  

② 직무 적성  

③ 학습 경험  

 과제접근 기술 


31.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루하게 반복되는 과업의 단조로움은 매우 위험한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다.  

② 복잡한 과제는 정보 과부하를 일으켜 스트레스를 높인다.  

③ 공식적이고 구조적인 조직에서 주로 인간관계 변수 때문에 역할갈등이 발생한다.  

④ 역할모호성은 개인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32. 성격의 5요인(Big Fiv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정서적 안정성     ② 정확성     ③ 성실성     ④ 호감성 


33. 다음 사례에서 A에게 해당하는 홀랜드(Holland)의 직업성격 유형은? 

A는 분명하고 질서정연한 것을 좋아하며, 체계적으로 기계를 조작하는 활동을 좋아 한다. 성격은 솔직하고, 말이 적으며, 고집이 있는 편이고, 단순하다는 얘기를 많이 듣는다. 

① 탐구적(I)      ② 사회적(S)  

③ 실제적(R)      ④ 관습적(C) 


34.  데이비스와 롭퀘스트(Davis &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에서 적응양식의 차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의존성 (dependence)  

② 적극성 (activerness)  

③ 반응성(reactiveness)  

④ 인내 (perseverance) 


35.  Super의 진로발달단계 중 결정화, 구체화, 실행 등과 같은 과업이 수행되는 단계는? 

① 성장기       ② 탐색기  

③ 확립기       ④ 유지기 


36.  로(Roe)의 욕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아동기에 형성된 욕구에 대한 반응으로 직업 선택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② 가정 분위기의 유형을 회피형, 정서 집중형, 통제형으로 구분하였다. 

③ 직업군을 8가지로 분류하였다. 

④. 매슬로우가 제시한 욕구의 단계를 기초로 해서 초기의 인생경험과 직업선택의 관계에 관한 가정을 발전시켰다.


37.  자신의 직무나 직무경험에 대한 평가로부터 비롯되는 유쾌하거나 정적인 감정 상태는? 

① 직무만족  ② 직업적응  ③ 작업 동기  ④ 직무몰입 


3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행동특성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ㄱ     - 점심을 먹으면서도 서류를 본다.  

        -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쉬면 견딜 수 없다.  

        - 주말이나 휴일에도 쉴 수가 없다.  

ㄴ    - 열심히 일을 했지만 성취감보다는 허탈감을 느낀다.  

       - 인생에 환멸을 느낀다.  

       - 불면증이 생긴다. 

① ㄱ: 일 중독증,            ㄴ: 소진  

② ㄱ: A형 성격,             ㄴ: B형 성격  

③ ㄱ: 내적 통제소재,     ㄴ: 외적 톰제소재  

④ ㄱ: 과다 과업지향성, ㄴ: 과다 인간관계지향성 


39. 가치중심적 진로접근모형의 명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개인이 우선권을 부여하는 가치들은 얼마 되지 않는다.  

② 가치는 환경 속에서 가치를 담은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학습된다.  

③ 생애만족은 중요한 모든 가치들을 만족시키는 생애역할들에 의존한다.  

④ 생애역할에서의 성공은 개인적 요인보다는 외적 요인들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40.  다음 중 조직에서 직원의 경력개발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사내 공모제  

② 후견인(mentoring) 프로그램  

③ 직무평가  

④ 직무순환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저작권 안내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심기출) 직업상담  (0) 2021.04.30
(직상기출) 직무만족  (0) 2021.04.30
(직상기출) 상담이론과 상담목표  (0) 2021.04.30
(직상기출) 콜브(Kolb)  (0) 2021.04.30
(직상기출) 사이버 직업상담  (0) 2021.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