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_10. 특성-요인 직업상담에서 상담사가 지켜야 할 상담원칙으로 틀린 것은?
① 내담자에게 강의하려 하거나 거만한 자세로 말하지 않는다.
② 전문적인 어휘를 사용하고, 상담 초기에는 내담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비교적 큰 범위로 확대한다.
③ 어떤 정보나 해답을 제공하기 전에 내담자가 정말로 그것을 알고 싶어 하는지 확인한다.
④ 상담사는 자신이 내담자가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태도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20. 특성-요인 상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담자 중심의 상담방법이다.
② 문제의 객관적 이해보다는 내담자에 대한 정서적 이해에 중점을 둔다.
③ 내담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기술과 사회적 적응기술을 알려주는 것을 중요시 한다.
④ 사례연구를 상담의 중요한 자료로 삼는다.
6. 특성-요인 직업상담에서 일련의 관련 있는 또는 관련 없는 사실들로부터 일관된 의미를 논리적으로 파악하여 문제를 하나씩 해결하는 과정은?
① 다중진단
② 선택진단
③ 변별진단
④ 범주진단
5. 직업상담에서 특성-요인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섯 가지 유형으로 성격 특성을 분류할 수 있다.
② 각각의 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의 집합이다.
③ 개인은 일을 통해 개인적 욕구를 성취하도록 동기화되어 있다.
④ 직업적 선택은 개인의 발달적 특성이다.
17.특성-요인 상담에서 스토롱(Strong)과 슈미트(Schmidt)가 중요하게 생각한 상담사의 특성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① 신뢰 ② 전문성
③ 매력 ④ 공감
정답
특성-요인 상담
① 상담자 중심의 상담방법이다.
② 내담자에 대한 정서적 이해보다 문제의 객관적 이해에 중점을 둔다.
③ 내담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기술과 사회적 적응기술을 알려주는 것을 중요시 한다.
④ 사례연구를 상담의 중요한 자료로 삼는다.
특성-요인이론
각각의 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의 집합이다.
특성-요인 직업 상담과정의 단계
분석 → 종합 → 진단 → 예측 → 상담 또는 치료 → 사후지도
특성-요인 상담에서 스토롱(Strong)과 슈미트(Schmidt)가 중요하게 생각한 상담사의 특성
① 신뢰
② 전문성
③ 매력
특성-요인 직업상담에서 상담사가 지켜야 할 상담원칙
① 내담자에게 강의하려 하거나 거만한 자세로 말하지 않는다.
② 어떤 정보나 해답을 제공하기 전에 내담자가 정말로 그것을 알고 싶어 하는지 확인한다.
③ 상담사는 자신이 내담자가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태도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B_10. 특성-요인 직업상담에서 상담사가 지켜야 할 상담원칙으로 틀린 것은?
① 내담자에게 강의하려 하거나 거만한 자세로 말하지 않는다.
② 전문적인 어휘를 사용하고, 상담 초기에는 내담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비교적 큰 범위로 확대한다.
③ 어떤 정보나 해답을 제공하기 전에 내담자가 정말로 그것을 알고 싶어 하는지 확인한다.
④ 상담사는 자신이 내담자가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태도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2021.05.15.(2회)]
20. 특성-요인 상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담자 중심의 상담방법이다.
② 문제의 객관적 이해보다는 내담자에 대한 정서적 이해에 중점을 둔다.
☞ 내담자에 대한 정서적 이해보다 문제의 객관적 이해에 중점을 둔다.
③ 내담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기술과 사회적 적응기술을 알려주는 것을 중요시 한다.
④ 사례연구를 상담의 중요한 자료로 삼는다.
[ 2021.03.07.(1회) ]
변별진단
일련의 관련 있는 또는 관련 없는 사실들로부터 일관된 의미를 논리적으로 파악하여 문제를 하나씩 해결하는 과정
6. 특성-요인 직업상담에서 일련의 관련 있는 또는 관련 없는 사실들로부터 일관된 의미를 논리적으로 파악하여 문제를 하나씩 해결하는 과정은?
① 다중진단
② 선택진단
③ 변별진단
④ 범주진단
[ 2020.08.22.(3회) ]
5. 직업상담에서 특성-요인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섯 가지 유형으로 성격 특성을 분류할 수 있다.
② 각각의 개인은 신뢰할 만하고 타당하게 측정될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의 집합이다.
③ 개인은 일을 통해 개인적 욕구를 성취하도록 동기화되어 있다.
④ 직업적 선택은 개인의 발달적 특성이다.
[2018.04.28.(2회)]
17.특성-요인 상담에서 스토롱(Strong)과 슈미트(Schmidt)가 중요하게 생각한 상담사의 특성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① 신뢰 ② 전문성
③ 매력 ④ 공감
[2018.03.04.(1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 직업상담학(과목별) 직업심리학(문제별) / 직업심리학(과목별) 직업정보론(문제별) / 직업정보론(과목별) 노동시장론(문제별) / 노동시장론(과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학(문제별) (0) | 2021.04.27 |
---|---|
[노동시장론] 2019년 3회차 1차필기 기출문제 (0) | 2021.04.26 |
(직상기출) ABCDE모형 (0) | 2021.04.26 |
(직상기출) 내담자의 잘못된 인식 (0) | 2021.04.26 |
(직상기출) 직업상담사의 윤리 (0) | 202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