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심기출) 직무 스트레스

by Gabeochi 2021. 5. 5.



32. 조직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역할과 상급자가 생각하는 역할 간 차이에 기인한 스트레스원은? 


① 역할 과다  

② 역할 모호성 

③ 역할 갈등

④ 과제 곤란도


39. 직무 및 일반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7-OHCS라는 당류부신피질 호르몬은 스트레스의 생리적 기표로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된다. 

② A성격 유형이 B성격 유형보다 더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유지한다. 

③ Yerkes와 Dodson의 역U자형 가설은 스트레스 수준이  적당하면 작업능률도 최대가 된다고 한다. 

④ 일반적응증후군(GAS)에 따르면 저항단계, 경고단계, 탈진단계를 거치면서 사람에게 나쁜 결과를 가져다준다.


22. 직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변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성격 유형    ② 역할 모호성      ③ 통제 소재    ④ 사회적 지원


24. 직무스트레스 매개변인으로 개인 속성에 해당하는 것은?

① 통제 소재                 ② 역할 과부하  

③ 역할 모호성       ④ 조직 풍토


25.  직무 스트레스를 촉진시키거나 완화하는 조절요인이 아닌 것은? 

① AB 성격유형  

② 통제 소재  

③ 사회적 지원  

④ 반복적이고 단조로운 직무 


39. 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부하들을 철저히 감독하라는 사장의 요구와 작업능률을 높이려면 자발적으로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부하들의 요구 사이에서 고민하는 팀장의 스트레스 원인은? 

① 송신자내 갈등                   ② 개인간 역할갈등  

③ 개인내 역할갈등               ④ 송신자간 갈등  


25.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 스트레스의 결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직무수행 감소  

② 직무 불만족  

③ 상사의 부당한 지시  

④ 결근 및 이직 


21.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안 중의 하나로 이솝우화에 나오는 여우와 신포도 이야기처럼 생각하는 것은?

① 투사(projection)                ② 억압(repression) 

③ 합리화(rationalization)    ④ 주지화(intellectualization) 


25. 역할 갈등의 발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직업에서의 요구와 직업 이외의 요구가 다를 때 발생한다.

②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의 요구와 개인의 가치관이 다를 때 발생한다.

③ 개인에게 요구하는 두 사람 이상의 요구가 다를 때 발생한다.

④ 개인의 책임한계와 목표가 명확하지 않아서 역할이 분명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정답                                                         


직무 및 일반 스트레스

① 17-OHCS라는 당류부신피질 호르몬은 스트레스의 생리적 기표로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된다. 

② A성격 유형이 B성격 유형보다 더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유지한다. 

③ Yerkes와 Dodson의 역U자형 가설은 스트레스 수준이  적당하면 작업능률도 최대가 된다고 한다.

④ 일반적응증후군(GAS)에 따르면 경고단계, 저항단계, 탈진단계를 거치면서 사람에게 나쁜 결과를 가져다준다.


*17-OHCS(17-hydroxycortico steroid)  17-히드록시코르티코스테로이드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중 물, 나트륨(Na), 칼륨(K)의 전해질 대사, 당질대사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총칭


* A유형·B유형 성격 이론(Type A and Type B personality theory)

1959년 미국의 심장전문의 프리드만(Freidman)과 로젠만(Rosenman)에 의해 시작된,  심혈관계 질환에 걸리는 특성과 관련된 성격 유형의 분류

   A유형 : 초조하고 조급해하며 경쟁적인 특성으로 심혈관계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유형

   B타입 : 비교적 느긋하고, 덜 공격적이면서 자율을 중시하는 유형 


* 여키스-도슨(Yerkes-Dodson)여키스-도슨 법칙(Yerkes-Dodson Law)

각성 수준과 수행 수준 간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고, 수행의 효율성은 각성이 중간 수준에서 최대가 된다고 주장함.
'거꾸로 된 U형 함수관계(inverted-U function)'를 제시


일반 적응 증후군(一般適應症候群) , General Adaptation Syndrome

지속적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신체에 발생하는 비특이적 반응

    경고 반응 단계(alarm reaction stage)

    저항 단계(resistance stage)

    소진 단계(exhaustion stage)



직무 스트레스

① 지루하게 반복되는 과업의 단조로움은 매우 위험한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다.  

② 복잡한 과제는 정보 과부하를 일으켜 스트레스를 높인다.  

③ 역할모호성은 개인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직무 스트레스를 촉진시키거나 완화하는 조절요인

① AB 성격유형  

② 통제 소재  

③ 사회적 지원  


역할 갈등

조직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역할과 상급자가 생각하는 역할 간 차이에 기인한 스트레스원

① 직업에서의 요구와 직업 이외의 요구가 다를 때 발생한다.

②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의 요구와 개인의 가치관이 다를 때 발생한다.


③ 개인에게 요구하는 두 사람 이상의 요구가 다를 때 발생한다.


통제 소재

직무스트레스 매개변인으로 개인 속성에 해당하는 것

송신자간 갈등  

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부하들을 철저히 감독하라는 사장의 요구와 작업능률을 높이려면 자발적으로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부하들의 요구 사이에서 고민하는 팀장의 스트레스 원인 


32. 조직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역할과 상급자가 생각하는 역할 간 차이에 기인한 스트레스원은? 

① 역할 과다  

② 역할 모호성 

③ 역할 갈등

④ 과제 곤란도

2021.03.07.(1회) ]


25. 역할 갈등의 발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직업에서의 요구와 직업 이외의 요구가 다를 때 발생한다.

②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의 요구와 개인의 가치관이 다를 때 발생한다.

③ 개인에게 요구하는 두 사람 이상의 요구가 다를 때 발생한다.

개인의 책임한계와 목표가 명확하지 않아서 역할이 분명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2018.08.19.(3회)]


39. 직무 및 일반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7-OHCS라는 당류부신피질 호르몬은 스트레스의 생리적 기표로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된다. 

② A성격 유형이 B성격 유형보다 더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유지한다. 

③ Yerkes와 Dodson의 역U자형 가설은 스트레스 수준이  적당하면 작업능률도 최대가 된다고 한다. 

④ 일반적응증후군(GAS)에 따르면 저항단계, 경고단계, 탈진단계를 거치면서 사람에게 나쁜 결과를 가져다준다.
                                                       ☞ 경고단계, 저항단계, 탈진단계
2021.03.07.(1회) ]


22. 직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변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성격 유형    ② 역할 모호성      ③ 통제 소재    ④ 사회적 지원

2020.08.22.(3회) ]


31.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지루하게 반복되는 과업의 단조로움은 매우 위험한 스트레스 요인이 될 수 있다.  

② 복잡한 과제는 정보 과부하를 일으켜 스트레스를 높인다.  

③ 공식적이고 구조적인 조직에서 주로 인간관계 변수 때문에 역할갈등이 발생한다.  
      ☞ 공식적이고 구조적인 조직에서 주로 구조적 변수가 스트레스원이 된다.
           비공식적이고 비구조적인 조직에서 주로 인간관계 변수 때문에 역할갈등이 발생한다.  

④ 역할모호성은 개인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2020.08.22.(3회) ]


24. 직무스트레스 매개변인으로 개인 속성에 해당하는 것은?

① 통제 소재                 ② 역할 과부하  

③ 역할 모호성              ④ 조직 풍토 

[2019.08.04.(3회)]


25.  직무 스트레스를 촉진시키거나 완화하는 조절요인이 아닌 것은? 

① AB 성격유형  

② 통제 소재  

③ 사회적 지원  

④ 반복적이고 단조로운 직무 

[2019.04.27.(2회)]


39. 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부하들을 철저히 감독하라는 사장의 요구와 작업능률을 높이려면 자발적으로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부하들의 요구 사이에서 고민하는 팀장의 스트레스 원인은? 

① 송신자내 갈등                   ② 개인간 역할갈등  

③ 개인내 역할갈등               ④ 송신자간 갈등  

[2019.04.27.(2회)]


25.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 스트레스의 결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직무수행 감소  

② 직무 불만족  

③ 상사의 부당한 지시  

④ 결근 및 이직 

[2019.03.03.(1회)]


합리화(rationalization)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안 중의 하나로 이솝우화에 나오는 여우와 신포도 이야기처럼 생각하는 것


21.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안 중의 하나로 이솝우화에 나오는 여우와 신포도 이야기처럼 생각하는 것은?

① 투사(projection)                ② 억압(repression) 

합리화(rationalization)    ④ 주지화(intellectualization)  

[2018.08.19.(3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저작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