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자리/직업상담사시험

(노시기출) 임금의 범위

by Gabeochi 2021. 5. 4.



B_
71.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통상임금에는 기본급, 직무관련 직책, 직급, 직무수당을 포함한다.

② 초과 급여, 특별급여 등은 통상임금 산정에서 제외된다. 

③ 평균임금은 고용기간 중에서 근로자가 지급받고 있던 평균적인 임금수준을 말한다.

④ 평균임금은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등의 산출 기준 임금이다.


74. 임금의 경제적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임금결정에서 기업주는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선호하고 노동자는 동일 노동 차등임금을 선호한다.  

② 기업주에게는 실질임금이 중요성을 가지나 노동자에게는 명목임금이 중요하다. 

③ 기업주에서 본 임금과 노동자 입장에서 본 임금의 성격상 상호배반적인 관계를 갖는다.  

④ 임금은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수요결정의 변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73. 다음 표에서 어떤 도시근로자의 실질임금을 구할 경우 ㄱ, ㄴ, ㄷ, ㄹ의 크기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구분            '09년   '12년   '15년   '18년 
도매물가지수      95     100     100    120 

소비자물가지수   90     100     115    125 

명목임금(만원)   130    140     160    180 

실질임금(만원)   ㄱ        ㄴ      ㄷ      ㄹ

①  ㄱ  >  ㄴ > ㄷ > ㄹ

②  ㄱ  >  ㄹ > ㄴ > ㄷ

③  ㄹ  >  ㄷ > ㄱ > ㄴ

④ ㄹ  >  ㄴ > ㄷ > ㄱ


      정답                                                         


임금의 범위


평균임금(平均賃金)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 근로자가 취업한 후 3개월 미만인 경우도 이에 준한다.

통상임금(通常賃金)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소정(所定)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하여 지급하기로 정한 시간급 금액, 일급 금액, 주급 금액, 월급 금액 또는 도급 금액을 말한다.

명목임금(名目賃金) : nominal wages 

물가의 상승을 고려하지 않고 현재의 화폐단위 금액을 기준으로 임금을 표시한 임금.

임금은 일정한데 물가가 오르면 실질 임금은 감소하지만 명목 임금은 변하지 않는다.


실질임금(實質賃金) : real wage

물가상승을 고려한 돈의 실질적인 가치로 나타낸 임금. 
임금의 구매력을 기초로 한 것



임금의 경제적 기능

① 임금결정에서 기업주는 동일노동 차등임금을 선호하고 노동자는 동일 노동 동일임금을 선호한다.  

② 기업주에게는 실질임금이 중요성을 가지나 노동자에게는 명목임금이 중요하다. 

③ 기업주에서 본 임금과 노동자 입장에서 본 임금의 성격상 상호배반적인 관계를 갖는다.  

④ 임금은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수요결정의 변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① 통상임금에는 기본급, 직무관련 직책, 직급, 직무수당을 포함한다.

② 초과 급여, 특별급여 등은 통상임금 산정에서 제외된다. 

③ 평균임금은 고용기간 중에서 근로자가 지급받고 있던 평균적인 임금수준을 말한다.


B_71.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통상임금에는 기본급, 직무관련 직책, 직급, 직무수당을 포함한다.

② 초과 급여, 특별급여 등은 통상임금 산정에서 제외된다. 

③ 평균임금은 고용기간 중에서 근로자가 지급받고 있던 평균적인 임금수준을 말한다.

④ 평균임금은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등의 산출 기준 임금이다.

[2021.05.15.(2회)]


74. 임금의 경제적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임금결정에서 기업주는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선호하고 노동자는 동일 노동 차등임금을 선호한다.  

② 기업주에게는 실질임금이 중요성을 가지나 노동자에게는 명목임금이 중요하다. 

③ 기업주에서 본 임금과 노동자 입장에서 본 임금의 성격상 상호배반적인 관계를 갖는다.  

④ 임금은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수요결정의 변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20.09.26.(4회)]  


73. 다음 표에서 어떤 도시근로자의 실질임금을 구할 경우 ㄱ, ㄴ, ㄷ, ㄹ의 크기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구분            '09년   '12년   '15년   '18년 
도매물가지수      95     100     100    120 

소비자물가지수   90     100     115    125 

명목임금(만원)   130    140     160    180 

실질임금(만원)   ㄱ        ㄴ      ㄷ      ㄹ

①  ㄱ  >  ㄴ > ㄷ > ㄹ

②  ㄱ  >  ㄹ > ㄴ > ㄷ

③  ㄹ  >  ㄷ > ㄱ > ㄴ

④ ㄹ  >  ㄴ > ㄷ > ㄱ

[2019.08.04.(3회)]

실질임금 = (명목임금 ÷소비자물가지수) ×100

㉠  '09년 실질임금 = (130 ÷ 90) ×100 = 144.4

㉡  '12년 실질임금 = (140 ÷ 100) ×100 = 140

㉢  '15년 실질임금 = (160 ÷ 115 ) ×100 = 139.1

㉣  '18년 실질임금 = (180  ÷ 125) ×100 = 144


 ㄱ(144.4) >  ㄹ(144)  > ㄴ(140)  > ㄷ (139.1)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 직업상담학(과목별) 직업심리학(문제별)   / 직업심리학(과목별) 직업정보론(문제별)   /   직업정보론(과목별) 노동시장론(문제별)   / 노동시장론(과

togetherpets.tistory.com

저작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