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_40. 다음은 어떤 타당도에 관한 설명인가?
측정도구가 실제로 무엇을 측정했는가 또는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추상적인 개념이 실제로 측정도구에 의해서 적절하게 측정 되었는가에 관한 문제로서, 이론적 연구를 하는 데 가장 중요한 타당도
①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② 개념타당도(construct validity)
③ 공인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④ 예언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3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타당도의 종류는?
검사의 문항들이 그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영역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가를 의미하며, 흔히 성취도 검사의 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① 준거 타당도 ② 내용 타당도
③ 예언 타당도 ④ 공인 타당도
31. 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안면타당도는 전문가가 문항을 읽고 얼마나 타당해 보이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② 검사의 신뢰도는 타당도 계수의 크기에 영향을 준다.
③ 구성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요인분석 방법이 있다.
④ 예언타당도는 타당도를 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31. 다음은 심리검사의 타당도 중 어떤 것을 설명한 것인가?
- 논리적 사고에 입각한 논리적인 분석과정으로 판단하는 주관적 타당도이다.
- 본질적으로 해당분야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한다.
① 구성타당도 ② 예언 타당도
③ 내용타당도 ④ 동시 타당도
36.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다.?
실제로 무엇을 재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검사가 잰다고 말하는 것을 재는 것처럼 보이는 가의 문제이다. 즉, 검사를 받는 사람들에게 그 검사가 타당한 것처럼 보이는가를 뜻한다.
①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② 준거관련 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③ 예언타당도(predictive validity)
④ 안면타당도(face validity)
22. 적성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일수록 입사 후 업무수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면, 이 검사는 어떠한 타당도가 높은 것이가?
①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②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③ 예언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④ 공인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정답
타당도(妥當度), validity
검사의 신뢰도는 타당도 계수의 크기에 영향을 준다.
타당도의 종류
준거타당도(準據妥當度), criterion-related validity
측정도구가 특정 준거와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
예언타당도(豫言妥當度), predictive validity
예언타당도는 타당도를 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동시타당도(同時妥當度), 공인타당도(共因妥當度) : concurrent validity
내용 타당도(內容妥當度), content validity
검사의 문항들이 그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영역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가를 의미하며, 흔히 성취도 검사의 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논리적 사고에 입각한 논리적인 분석과정으로 판단하는 주관적 타당도이다.
본질적으로 해당분야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한다.
구성 타당도(構成妥當度), construct validity
측정하고자 하는 추상적 개념을 이론적인 배경 속에서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
구성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요인분석 방법이 있다.
안면 타당도(顔面妥當度), face validity
일반인이 문항을 읽고 얼마나 타당해 보이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실제로 무엇을 재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검사가 잰다고 말하는 것을 재는 것처럼 보이는 가의 문제이다. 즉, 검사를 받는 사람들에게 그 검사가 타당한 것처럼 보이는가를 뜻한다.
개념타당도(construct validity)
측정도구가 실제로 무엇을 측정했는가 또는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추상적인 개념이 실제로 측정도구에 의해서 적절하게 측정 되었는가에 관한 문제로서, 이론적 연구를 하는 데 가장 중요한 타당도
B_40. 다음은 어떤 타당도에 관한 설명인가?
측정도구가 실제로 무엇을 측정했는가 또는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추상적인 개념이 실제로 측정도구에 의해서 적절하게 측정 되었는가에 관한 문제로서, 이론적 연구를 하는 데 가장 중요한 타당도
①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② 개념타당도(construct validity)
③ 공인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④ 예언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2021.05.15.(2회)]
3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타당도의 종류는?
검사의 문항들이 그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영역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가를 의미하며, 흔히 성취도 검사의 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① 준거 타당도 ② 내용 타당도
③ 예언 타당도 ④ 공인 타당도
[ 2020.09.26.(4회) ]
31. 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안면타당도는 전문가가 문항을 읽고 얼마나 타당해 보이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 일반인이
② 검사의 신뢰도는 타당도 계수의 크기에 영향을 준다.
③ 구성타당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요인분석 방법이 있다.
④ 예언타당도는 타당도를 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2020.06.06.(1, 2회차 통합)]
31. 다음은 심리검사의 타당도 중 어떤 것을 설명한 것인가?
- 논리적 사고에 입각한 논리적인 분석과정으로 판단하는 주관적 타당도이다.
- 본질적으로 해당분야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한다.
① 구성타당도 ② 예언 타당도
③ 내용타당도 ④ 동시 타당도
[2019.04.27.(2회)]
36.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다.?
실제로 무엇을 재는가의 문제가 아니라, 검사가 잰다고 말하는 것을 재는 것처럼 보이는 가의 문제이다. 즉, 검사를 받는 사람들에게 그 검사가 타당한 것처럼 보이는가를 뜻한다.
①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② 준거관련 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③ 예언타당도(predictive validity)
④ 안면타당도(face validity)
[2019.03.03.(1회)]
22. 적성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일수록 입사 후 업무수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면, 이 검사는 어떠한 타당도가 높은 것이가?
①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②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③ 예언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④ 공인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2017.03.05.(1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심기출) 직업발달이론 (0) | 2021.04.29 |
---|---|
(직심기출) 톨버트(Tolbert) (0) | 2021.04.29 |
(직심기출) 조직 감축 (0) | 2021.04.29 |
(직심기출) ㅋ (0) | 2021.04.29 |
(직심기출) 직업선택 (0) | 202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