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자리/직업상담사시험

(직정기출) 한국표준산업분류

by Gabeochi 2021. 4. 28.



B_42.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의 분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기본적으로 산업 활동 관련 통계 자료 수집, 제표, 분석 등을 위해서 활동 분류 및 범위를 제공하기 위한 것

② 산업 관련 통계자료 정확성, 비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든 통계작성기관은 한국표준산업분류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규정 

③ 일반 행정 및 산업정책 관련 다수 법령에서 적용대상 산업영역을 규정하는 기준으로 준용

④ 취업알선을 위한 구인·구직안내 기준


B_56.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 분류정의가 틀린 것은?

 산업은 유사한 성질을 갖는 산업활동에 주로 종사하는 생산단위의 집합이다

 각 생산단위가 노동, 자본, 원료 등 자원을 투입하여, 재화 또는 서비스를 생산 또는 제공하는 일련의 활동과정은 산업 활동이다. 

 산업 활동 범위에는 영리적, 비영리적 활동이 모두 포함되며, 가정 내 가사 활동도 포함 된다. 

 산업분류는 생산단위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분류 기준과 원칙에 맞춰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 한 것이다.


50.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 주요 개정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어업에서 해수면은 해면으로, 수산 종자는 수산 종묘로 명칭을 변경 

② 수도업은 국내 산업 연관성을 고려하고 국제표준산업분류(ISIC)에 맞춰 대분류 E로 이동 

③ 산업 성장세를 고려하여 태양력 발전업을 신설 

④ 세분류에서 종이 원지·판지·종이상자 도매업, 면세점, 의복 소매업을 신설


46.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의 분류기준이 아닌 것은?

① 산출물의 특성  

② 투입물의 특성  

③ 생산단위의 활동형태  

④ 생산활동의 일반적인 결합형태 


56.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대분류 중 제조업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원재료(물질 또는 구성요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투입된 원재료를 성질이 다른 새로운 제품으로 진환시키는 산업 활동이다. 

② 단순히 상품을 선별 · 정리 · 분할 · 포장 · 재포장하는 경우 등과 같이 그 상품의 본질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는 처리 활동은 제조 활동으로 보지 않는다. 

③ 제조활동은 공장이나 가내에서 동력기계 및 수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생산된 제품은 도매나 소매형태로 판매될 수도 있다. 

④ 자본재(고정 자본 형성)로 사용되는 산업용 기계와 장비를 전문적으로 수리하는 경우는 수리업으로 분류한다.


48. 다음은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어떤 산업분류에 관한 설명인가?

작물재배활동과 축산활동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그 중 한편의 전문화율이 66% 미만인 경우

① 작물재배업

② 축산업

③ 작물재배 및 축산 복합농업

④ 작물재배 및 축산 관련 서비스업


54.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산업분류적용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생산단위는 산출물뿐만 아니라 투입물과 생산공정 등을 함께 고려하여 그들의 활동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항목에 분류  

② 생산단위 소유 형태, 법적 조직 유형 또는 운영방식도 산업분류에 영향을 미침  

③ 산업활동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활동단위의 주된 활동에 따라 분류  

① 공식적 · 비공식적 생산물, 합법적 · 불법적인 생산은 달리 분류하지 않음 


57.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한국표준산업분류상 통계단위 중 하나로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법적 또는 제도적 단위의 최소결합체로서 자원배분에 관한 의사결정에서 자율성을 갖고 있으며, 재무 관련 통계작성에 가장 유용하다." 

① 산업             ②  기업체

③ 산업활동     ④  사업체 


60.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분류구조 및 부호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부호 처리를 할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만을 사용하도록 했다.  

② 권고된 국제분류 ISIC Rev.4를 기본체계로 하였으나, 국내 실정을 고려하여 국제분류의 각 단계 항목을 분할, 통합 또는 재그룹화하여 독자적으로 분류 항목과 분류 부호를 설정하였다.  

③ 분류 항목 간에 산업 내용의 이동을 가능한 억제하였으나 일부 이동 내용에 대한 연계분석 및 시계열 연계를 위하여 부록에 수록된 신구 연계표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④ 중분류의 번호는 001 부터 999까지 부여하였으며, 대분류별 중분류 추가여지를 남겨놓기 위하여 대분류 사이에 번호 여백을 두었다.

42. 한국표준산업분류(2017)에서 하나 이상의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단일 산업활동의 통계단위는? 

① 기업집단 단위       ②  기업체 단위

③ 활동유형 단위       ④  지역 단위 


49. 한국표준산업분류의 통계단위는 생산활동과 장소의 동질성의 차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에 알맞은 것은?

             구분                하나 이상 장소          단일 장소

하나 이상 산업활동              XXX                     XXX

                                             XXX

    단일 산업활동                  (     )                      XXX

① 기업집단 단위            ② 지역 단위

③ 기업체 단위                ④ 활동유형 단위 


52.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분류기준이 아닌 것은?

① 산출물의 특성

② 투입물의 특성

③ 생산단위의 활동형태

④ 생산활동의 일반적인 결합형태

[2018.08.19.(3회)]


58.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분류구조 및 부호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부호처리를 할 경우에는 알파벳 문자와 아라비아 숫자를 함께 사용토록 했다.

② 권고된 국제분류 ISIC Rev.4를 기본체계로 하였으나, 국내실정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분류항목과 분류부호를 설정하였다.

③ 중분류의 번호는 001 부터 999 까지 부여하였으며, 대분류별 중분류 추가여지를 남겨놓기 위하여 대분류 사이에 번호 여백을 두었다.

④ 소분류 이하 모든 분류의 끝자리 숫자는 01 에서 시작하여 99 에서 끝나도록 하였다.




      정답                                                         


참조 : 한국표준산업분류 개요
kssc.kostat.go.kr:8443/ksscNew_web/summary001.pdf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 주요 개정내용

① 수도업은 국내 산업 연관성을 고려하고 국제표준산업분류(ISIC)에 맞춰 대분류 E로 이동

②  산업 성장세를 고려하여 태양력 발전업을 신설 

③  세분류에서 종이 원지·판지·종이상자 도매업, 면세점, 의복 소매업을 신설


B_42.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의 분류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기본적으로 산업 활동 관련 통계 자료 수집, 제표, 분석 등을 위해서 활동 분류 및 범위를 제공하기 위한 것

② 산업 관련 통계자료 정확성, 비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든 통계작성기관은 한국표준산업분류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규정 

③ 일반 행정 및 산업정책 관련 다수 법령에서 적용대상 산업영역을 규정하는 기준으로 준용

④ 취업알선을 위한 구인·구직안내 기준

[2021.05.15.(2회)]


50.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 주요 개정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어업에서 해수면은 해면으로, 수산 종자는 수산 종묘로 명칭을 변경 

② 수도업은 국내 산업 연관성을 고려하고 국제표준산업분류(ISIC)에 맞춰 대분류 E로 이동 

③ 산업 성장세를 고려하여 태양력 발전업을 신설 

④ 세분류에서 종이 원지·판지·종이상자 도매업, 면세점, 의복 소매업을 신설

2021.03.07.(1회) ]


-------------------------------------------------------------------------------------------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의 분류기준

① 산출물의 특성  

② 투입물의 특성  

③ 생산활동의 일반적인 결합형태 



46.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의 분류기준이 아닌 것은?

① 산출물의 특성  

② 투입물의 특성  

③ 생산단위의 활동형태  

④ 생산활동의 일반적인 결합형태 

2020.09.26.(4회) ]


52.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분류기준이 아닌 것은?

① 산출물의 특성

② 투입물의 특성

③ 생산단위의 활동형태

④ 생산활동의 일반적인 결합형태

[2018.08.19.(3회)]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대분류 중 제조업 정의

① 원재료(물질 또는 구성요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투입된 원재료를 성질이 다른 새로운 제품으로 진환시키는 산업 활동이다. 

② 단순히 상품을 선별 · 정리 · 분할 · 포장 · 재포장하는 경우 등과 같이 그 상품의 본질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는 처리 활동은 제조 활동으로 보지 않는다. 

③ 제조활동은 공장이나 가내에서 동력기계 및 수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생산된 제품은 도매나 소매형태로 판매될 수도 있다.


56.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대분류 중 제조업 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원재료(물질 또는 구성요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투입된 원재료를 성질이 다른 새로운 제품으로 진환시키는 산업 활동이다. 

② 단순히 상품을 선별 · 정리 · 분할 · 포장 · 재포장하는 경우 등과 같이 그 상품의 본질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는 처리 활동은 제조 활동으로 보지 않는다. 

③ 제조활동은 공장이나 가내에서 동력기계 및 수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생산된 제품은 도매나 소매형태로 판매될 수도 있다. 

④ 자본재(고정 자본 형성)로 사용되는 산업용 기계와 장비를 전문적으로 수리하는 경우는 수리업으로 분류한다. ☞ 경우도 제조업으로 분류

2020.08.22.(3회) ]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 분류정의

① 산업은 유사한 성질을 갖는 산업활동에 주로 종사하는 생산단위의 집합이다

② 각 생산단위가 노동, 자본, 원료 등 자원을 투입하여, 재화 또는 서비스를 생산 또는 제공하는 일련의 활동과정은 산업 활동이다. 

산업분류는 생산단위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분류 기준과 원칙에 맞춰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 한 것이다.


B_56.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 분류정의가 틀린 것은?

 산업은 유사한 성질을 갖는 산업활동에 주로 종사하는 생산단위의 집합이다

 각 생산단위가 노동, 자본, 원료 등 자원을 투입하여, 재화 또는 서비스를 생산 또는 제공하는 일련의 활동과정은 산업 활동이다. 

 산업 활동 범위에는 영리적, 비영리적 활동이 모두 포함되며, 가정 내 가사 활동도 포함된다

 산업분류는 생산단위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분류 기준과 원칙에 맞춰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 한 것이다.

[2021.05.15.(2회)]


작물재배 및 축산 복합농업

작물재배활동과 축산활동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그 중 한편의 전문화율이 66% 미만인 경우


48. 다음은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어떤 산업분류에 관한 설명인가?

작물재배활동과 축산활동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그 중 한편의 전문화율이 66% 미만인 경우

① 작물재배업

② 축산업

③ 작물재배 및 축산 복합농업

④ 작물재배 및 축산 관련 서비스업

[2020.06.06.(1, 2회차 통합)]


기업체

한국표준산업분류상 통계단위 중 하나로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법적 또는 제도적 단위의 최소결합체로서 자원배분에 관한 의사결정에서 자율성을 갖고 있으며, 재무 관련 통계작성에 가장 유용하다." 


57.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한국표준산업분류상 통계단위 중 하나로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법적 또는 제도적 단위의 최소결합체로서 자원배분에 관한 의사결정에서 자율성을 갖고 있으며, 재무 관련 통계작성에 가장 유용하다." 

① 산업             ②  기업체

③ 산업활동     ④  사업체 

[2019.08.04.(3회)]



분류 구조 및 부호 체계

 1) 분류구조는 대분류(알파벳 문자 사용/Section), 중분류(2자리 숫자 사용/Division), 소분류(3자리 숫자 사용/Group), 세분류(4자리 숫자 사용/Class), 세세분류(5자리 숫자 사용/Sub-Class) 5단계로 구성된다.

 2) 부호 처리를 할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만을 사용하도록 했다.

 3) 권고된 국제분류 ISIC Rev.4를 기본체계로 하였으나, 국내 실정을 고려하여 국제분류의 각 단계 항목을 분할, 통합 또는 재그룹화하여 독자적으로 분류 항목과 분류 부호를 설정하였다.

 4) 분류 항목 간에 산업 내용의 이동을 가능한 억제하였으나 일부 이동 내용에 대한 연계분석 및 시계열 연계를 위하여 부록에 수록된 신구연계표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5) 중분류의 번호는 01부터 99까지 부여하였으며, 대분류별 중분류 추가여지를 남겨놓기 위하여 대분류 사이에 번호 여백을 두었다.

 6) 소분류 이하 모든 분류의 끝자리 숫자는 “0”에서 시작하여 “9”에서 끝나도록 하였으며 “9”는 기타 항목을 의미하며 앞에서 명확하게 분류되어 남아 있는 활동이 없는 경우에는 “9” 기타 항목이 필요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각 분류 단계에서 더 이상 하위분류가 세분되지 않을 때는 “0”을 사용한다(예를 들면 중분류 02/임업, 소분류/020).

참조 : 한국표준산업분류 개요


60.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분류구조 및 부호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부호 처리를 할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만을 사용하도록 했다.  

② 권고된 국제분류 ISIC Rev.4를 기본체계로 하였으나, 국내 실정을 고려하여 국제분류의 각 단계 항목을 분할, 통합 또는 재그룹화하여 독자적으로 분류 항목과 분류 부호를 설정하였다.  

③ 분류 항목 간에 산업 내용의 이동을 가능한 억제하였으나 일부 이동 내용에 대한 연계분석 및 시계열 연계를 위하여 부록에 수록된 신구 연계표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④ 중분류의 번호는 001 부터 999까지 부여하였으며, 대분류별 중분류 추가여지를 남겨놓기 위하여 대분류 사이에 번호 여백을 두었다. ☞ 01부터 99까지 

[2019.08.04.(3회)]


통계단위

통계단위란 생산단위의 활동(생산, 재무활동 등)에 관한 통계작성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 또는 분석할 대상이 되는 관찰 또는 분석 단위를 말한다. 관찰단위는 산업 활동과 지리적 장소의 동질성, 의사결정의 자율성, 자료수집 가능성이 있는 생산단위가 설정되어야 한다. 생산 활동과 장소의 동질성의 차이에 따라 통계단위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구분                                      하나 이상 장소                          단일 장소

하나 이상 산업활동             기업집단 단위                           지역 단위

                                              기업체 단위

단일 산업활동                       활동유형 단위                         사업체 단위

* 하나의 기업체 또는 기업집단을 전제함

활동유형 단위

한국표준산업분류(2017)에서 하나 이상의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단일 산업활동의 통계단위


42. 한국표준산업분류(2017)에서 하나 이상의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단일 산업활동의 통계단위는? 

① 기업집단 단위       ②  기업체 단위

③ 활동유형 단위       ④  지역 단위 

[2019.04.27.(2회)]


49. 한국표준산업분류의 통계단위는 생산활동과 장소의 동질성의 차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에 알맞은 것은?

             구분                하나 이상 장소          단일 장소

하나 이상 산업활동              XXX                     XXX

                                             XXX

    단일 산업활동              활동유형 단위         XXX



① 기업집단 단위            ② 지역 단위

③ 기업체 단위                ④ 활동유형 단위 

[2019.03.03.(1회)]


58.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분류구조 및 부호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부호처리를 할 경우에는 알파벳 문자와 아라비아 숫자를 함께 사용토록 했다.  ☞ 아라비아 숫자만을 사용하도록 했다.

② 권고된 국제분류 ISIC Rev.4를 기본체계로 하였으나, 국내실정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분류항목과 분류부호를 설정하였다.

③ 중분류의 번호는 001 부터 999 까지 부여하였으며, 대분류별 중분류 추가여지를 남겨놓기 위하여 대분류 사이에 번호 여백을 두었다. ☞ 01부터 99까지 

④ 소분류 이하 모든 분류의 끝자리 숫자는 01 에서 시작하여 99 에서 끝나도록 하였다. ☞ “0”에서 시작하여 “9”에서 

[2018.08.19.(3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저작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