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_29. 스트레스와 직무수행 간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직무수행이 떨어지는 일차함수 관계이다.
② 어느 수준까지만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직무수행이 떨어진다.
③ 일정 시점 이후에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하면 수행실적은 오히려 감소하는 역U형 관계이다
④ 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은 관계가 없다.
B_30.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적 대처 중 직장상사에게 야단맞은 사람이 부하직원이 나 식구들에게 트집을 잡아 화풀이를 하는 것은?
① 합리화(rationalization)
② 동일시 (identification)
③ 보상(compensation)
④ 전위(displacement)
29. 스트레스의 예방 및 대처 방안으로 틀린 것은?
① 가치관을 전환해야 한다.
② 과정중심적 사고방식에서 목표지향적 초고속 심리로 전환해야 한다.
③ 균형있는 생활을 해야 한다.
④ 취미·오락을 통해 생활 장면을 전환하는 활동을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23. 다음에 해당하는 스트레스 관리전략은?
예전에는 은행원들이 창구에 줄을 서서 기다리는 고객들에게 가능한 빨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었는데, 고객 대기표(번호표) 시스템을 도입한 이후 이러한 스트레스를 많이 줄일 수 있게 되었다.
① 반응지향적 관리 전략
② 증후지향적 관리 전략
③ 평가지향적 관리 전략
④ 출처지향적 관리 전략
28.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신체의 변화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흡과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혈압도 높아진다.
② 부신선과 부신 피질을 자극해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을 생성한다.
③ 부교감 신경계가 활성화되어 각성이 일어난다.
④ 부신피질 호르몬인 코티졸이 분비된다.
33.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포괄적인 노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과정중심적 사고방식에서 목표 지향적 초고속 사고로 전환해야 한다.
② 가치관을 전환해야 한다.
③ 스트레스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
④ 균형 있는 생활을 해야 한다.
39.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응증후는 경계, 저항, 탈진 단계로 진행된다.
② 1년간 생활 변동 단위 (life change unit)의 합이 90인 사람은 대단히 심한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이다.
③ A유형의 사람은 B유형의 사람보다. 스트레스에 더 인내력이 있다.
④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의 대처와 극복에 미치는 영향력은 거의 없다.
34.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스트레스 여부는 상황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해석에 의존한다.
② 스트레스 여부는 상황에 대한 통제 가능성에 의존한다.
③ 유형에 비해 B유형의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경향이 있다.
④ 내적 통제자에 비해 외적 통제자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뛰어나다.
21.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스트레스 수준과 수행은 U형 관계를 가진다.
② B유형 행동은 관상동맥성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③ 외적 통제자는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더라도 크게 위험을 느끼지 않는다.
④ 코티졸은 부신피질에서 방출하는 스트레스 통제 호르몬이다.
정답
엘리스(Ellis)
스트레스(stress)
①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응증후는 경계, 저항, 탈진 단계로 진행된다.
② 1년간 생활 변동 단위 (life change unit)의 합이 300 이상인 사람은 대단히 심한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이다.
③ A유형의 사람은 B유형의 사람보다 더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유지한다.
④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의 대처와 극복에 미치는 조절변인이 된다.
⑤ 스트레스 여부는 상황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해석에 의존한다.
⑥ 스트레스 여부는 상황에 대한 통제 가능성에 의존한다.
스트레스의 예방 및 대처 방안
① 가치관을 전환해야 한다.
② 균형있는 생활을 해야 한다.
③ 취미·오락을 통해 생활 장면을 전환하는 활동을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B_29. 스트레스와 직무수행 간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직무수행이 떨어지는 일차함수 관계이다.
② 어느 수준까지만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직무수행이 떨어진다.
③ 일정 시점 이후에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하면 수행실적은 오히려 감소하는 역U형 관계이다
④ 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은 관계가 없다.
[2021.05.15.(2회)]
B_30.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적 대처 중 직장상사에게 야단맞은 사람이 부하직원이 나 식구들에게 트집을 잡아 화풀이를 하는 것은?
① 합리화(rationalization)
② 동일시 (identification)
③ 보상(compensation)
④ 전위(displacement)
[2021.05.15.(2회)]
29. 스트레스의 예방 및 대처 방안으로 틀린 것은?
① 가치관을 전환해야 한다.
② 과정중심적 사고방식에서 목표지향적 초고속 심리로 전환해야 한다.
③ 균형있는 생활을 해야 한다.
④ 취미·오락을 통해 생활 장면을 전환하는 활동을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 2020.09.26.(4회) ]
출처지향적 관리 전략
예전에는 은행원들이 창구에 줄을 서서 기다리는 고객들에게 가능한 빨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었는데, 고객 대기표(번호표) 시스템을 도입한 이후 이러한 스트레스를 많이 줄일 수 있게 되었다.
23. 다음에 해당하는 스트레스 관리전략은?
예전에는 은행원들이 창구에 줄을 서서 기다리는 고객들에게 가능한 빨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었는데, 고객 대기표(번호표) 시스템을 도입한 이후 이러한 스트레스를 많이 줄일 수 있게 되었다.
① 반응지향적 관리 전략
② 증후지향적 관리 전략
③ 평가지향적 관리 전략
④ 출처지향적 관리 전략
[2020.06.06.(1, 2회차 통합)]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신체의 변화
① 호흡과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혈압도 높아진다.
② 부신선과 부신 피질을 자극해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을 생성한다.
③ 교감 신경계가 활성화되어 각성이 일어난다.
④ 부신피질 호르몬인 코티졸이 분비된다.
28.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신체의 변화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흡과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혈압도 높아진다.
② 부신선과 부신 피질을 자극해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을 생성한다.
③ 부교감 신경계가 활성화되어 각성이 일어난다.
☞ 교감 신경계
④ 부신피질 호르몬인 코티졸이 분비된다.
[2020.06.06.(1, 2회차 통합)]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포괄적인 노력
① 가치관을 전환해야 한다.
② 스트레스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
③ 균형 있는 생활을 해야 한다.
33.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포괄적인 노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과정중심적 사고방식에서 목표 지향적 초고속 사고로 전환해야 한다.
② 가치관을 전환해야 한다.
③ 스트레스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
④ 균형 있는 생활을 해야 한다.
[2019.08.04.(3회)]
* 생활변화 단위(生活變化單位) : life change unit
생활양식의 변화와 그 변화에 따른 적응이 요구되는 사건이 스트레스 요인이 된다고 보고,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의미 있는 변화를 요구하는 생활사건 43개 중 결혼이라는 사건을 임의적으로 500이라는 값을 부여하고 그 이외의 사건들은 결혼에 부여된 값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응량을 측정하였는데, 이 값을 생활변화 단위라고 한다. 생활변화 단위의 총합이 개인의 생활변화량이 되며 이것이 높을수록 질병 발생가능성이 높아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생활변화 단위 [生活變化 單位, life change unit] (교육심리학용어사전, 2000. 1. 10., 한국교육심리학회)
39.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응증후는 경계, 저항, 탈진 단계로 진행된다.
② 1년간 생활 변동 단위 (life change unit)의 합이 90인 사람은 대단히 심한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이다.
☞ 300 이상인 사람
③ A유형의 사람은 B유형의 사람보다 스트레스에 더 인내력이 있다.
☞ 더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유지한다.
④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의 대처와 극복에 미치는 영향력은 거의 없다.
☞ 조절변인이 된다.
[2019.03.03.(1회)]
* 통제 위치(統制位置) : Locus of Control
개인이 자신을 둘러싼 사건을 통제해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 정도.
내재론자(內在論者), 내적 통제자(內的統制者) : internals
스스로 자신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 통제 위치가 내부에 있는 사람
외재론자(外在論者), 외적 통제자(外的統制者) : externals
외부의 기회나 행운에 따라 자신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이 결정된다고 믿는 사람. 통제 위치가 외부에 있는 사람
외적 통제자에 비해 내적 통제자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뛰어나며, 직무만족도와 정서적 안정성도 더 높다 .
34.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스트레스 여부는 상황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해석에 의존한다.
② 스트레스 여부는 상황에 대한 통제 가능성에 의존한다.
③ A유형에 비해 B유형의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경향이 있다.
④ 내적 통제자에 비해 외적 통제자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뛰어나다.
[2018.08.19.(3회)]
21. 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스트레스 수준과 수행은 U형 관계를 가진다.
② B유형 행동은 관상동맥성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③ 외적 통제자는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되더라도 크게 위험을 느끼지 않는다.
④ 코티졸은 부신피질에서 방출하는 스트레스 통제 호르몬이다.
[2017.03.05.(1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심기출) 구성타당도 (0) | 2021.04.28 |
---|---|
합리정서행동치료 (0) | 2021.04.27 |
노동관계법규(문제별) (0) | 2021.04.27 |
노동시장론(문제별) (0) | 2021.04.27 |
직업정보론(문제별) (0) | 2021.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