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자리/직업상담사시험

(노시기출) 경제활동참가

by Gabeochi 2021. 5. 6.

73. 다음 중 경제활동참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여가에 대한 상대적 가치

ㄴ. 비근로소득의 발생 

ㄷ. 단시간 노동의 기회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ㄱ, ㄴ, ㄷ


74. A국의 취업자가 200만 명, 실업자가 10만 명, 비경제활동인구가 100만 명이라고 할 때, A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은? 

① 약 66.7%     ② 약 67.7% 

③ 약 69.2%     ④ 약 70.4%


71. 개인의 가용시간이 일정할 때 작업장까지의 통근시간 증가가 경제활동참가율과 총 근로시간에 미치는 효과로 옳은 것은? 

①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총 근로시간 증가

② 경제활동참가율 감소, 총 근로시간 증가 

③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총 근로시간 감소 

 경제활동참가율 감소, 총 근로시간 감소 



      정답                                                         


경제활동참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

① 여가에 대한 상대적 가치

② 비근로소득의 발생 

③ 단시간 노동의 기회


73. 다음 중 경제활동참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여가에 대한 상대적 가치

ㄴ. 비근로소득의 발생 

ㄷ. 단시간 노동의 기회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ㄱ, ㄴ, ㄷ

[2019.04.27.(2회)]


74. A국의 취업자가 200만 명, 실업자가 10만 명, 비경제활동인구가 100만 명이라고 할 때, A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은? 

① 약 66.7%     ② 약 67.7% 

③ 약 69.2%     ④ 약 70.4%

[2019.04.27.(2회)]

경제활동인구 = 실업자 + 취업자
 
                       = 10만 명 + 200만 명

                       = 210만 명

생산가능인구 =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 200만 명 +10만 명 +100만 명

                       = 310만 명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 ÷ 생산가능인구 ×100

                           = 210만 명 ÷ 310만 명 ×100

                           = 67.7% 


생산가능인구(生産可能人口) : Working Age Population,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연령의 인구(만 15세 이상 인구) 
경제활동인구 + 비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인구(經濟活動人口) :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非經濟活動人口)
구직단념자, 주부, 학생, 
경제활동참가율(經濟活動參加率) :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경제 활동이 가능한 전체 인구 중에서 실제로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인구의 비율


가용시간(可用時間) : Time available 

전체 가동 시간에서 고장이나 오류가 생긴 시간을 제외하고, 생산적 처리 작업에만 사용되는 시간.


71. 개인의 가용시간이 일정할 때 작업장까지의 통근시간 증가가 경제활동참가율과 총 근로시간에 미치는 효과로 옳은 것은? 

①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총 근로시간 증가

② 경제활동참가율 감소, 총 근로시간 증가 

③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총 근로시간 감소 

 경제활동참가율 감소, 총 근로시간 감소 

[2019.03.03.(1회)]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저작권 안내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시기출) 해고  (0) 2021.05.06
(노시기출) 실업급여  (0) 2021.05.06
(노시기출) 단체교섭  (0) 2021.05.06
(노시기출) 인력수요예측  (0) 2021.05.06
(노시기출) 경제적 조합주의  (0) 2021.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