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_55. 인간이 복잡한 정보에 접근하게 되는 구조에 근거를 둔 이론으로 직업선택결정 단계를 전제 단계, 계획단계, 인지부조화 단계로 구분한 직업결정모형은?
① 타이드만과 오하라(Tiedeman & O'Hara)의 모형
② 힐튼(Hilton)의 모형
③ 브룸(Vroom)의 모형
④ 수(Hsu)의 모형
43. 직업선택 결정모형을 기술적 직업결정모형과 처방적 직업결정모형으로 분류할 때 기술적 직업결정모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브룸(Vroom)의 모형
② 플레처 (Fletcher)의 모형
③ 겔라트(Gelatt)의 모형
④ 타이드만과 오하라(Tiderman & O'Hara)의 모형
정답
직업선택 결정모형
1. 기술적 직업결정모형(descriptive model)
① 타이드만과 오하라(Tiedeman & O'Hara)의 모형
② 힐튼(Hilton)의 모형
인간이 복잡한 정보에 접근하게 되는 구조에 근거를 둔 이론으로 직업선택결정 단계를 전제 단계, 계획단계, 인지부조화 단계로 구분한 직업결정모형
③ 브룸(Vroom)의 모형
④ 슈(Hsu)의 모형
⑤ 플래처(Fletcher)의 모형
2. 처방적 직업결정모형(prescriptive model)
① 키츠(Katz)의 모형
② 겔라트(Gelatt)의 모형
③ 칼도와 쥐토우스키(Kaldor & Zytowski)의 모형
B_55. 인간이 복잡한 정보에 접근하게 되는 구조에 근거를 둔 이론으로 직업선택결정 단계를 전제 단계, 계획단계, 인지부조화 단계로 구분한 직업결정모형은?
① 타이드만과 오하라(Tiedeman & O'Hara)의 모형
② 힐튼(Hilton)의 모형
③ 브룸(Vroom)의 모형
④ 수(Hsu)의 모형
[2021.05.15.(2회)]
43. 직업선택 결정모형을 기술적 직업결정모형과 처방적 직업결정모형으로 분류할 때 기술적 직업결정모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브룸(Vroom)의 모형
② 플레처 (Fletcher)의 모형
③ 겔라트(Gelatt)의 모형 ☞ 처방적 직업결정 모형
④ 타이드만과 오하라(Tiderman & O'Hara)의 모형
[ 2020.09.26.(4회) ]
직업상담사 기출
togetherpets.tistory.com/4056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사 기출 직업상담학(문제별) 직업심리학(문제별) 직업정보론(문제별) 노동시장론(문제별) 노동관계법규(문제별) 제1과목 : 직업상담학 [1차필기기출] 제2과목 : 직업심리학 [1차필기
togetherpets.tistory.com
'일자리 > 직업상담사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정기출) 한국직업전망 (0) | 2021.04.29 |
---|---|
(직정기출) 직업훈련포털(HRD-Net) (0) | 2021.04.29 |
(직정기출) 한국산업인력공단 (0) | 2021.04.29 |
[직업정보론] 2020년 4회차 1차필기 기출문제 (0) | 2021.04.29 |
(직심기출) 직업발달이론 (0) | 2021.04.29 |